'연세근대한국학총서' 61권. 채만식 소설의 미학적 구조와 내적 원리를 밝힌다. 저자가 학위논문으로 제출했던 '채만식 소설의 세계 인식과 미적 구조'와 학위논문에서 다루지 못했던 채만식과 사회주의의 관계, 그리고 채만식의 친일문제에 관한 두 편의 논문을 한 자리에 모았다. 1부 '채만식 소설의 세계 인식과 미적 구조', 2부 '채만식 문학의 내적 원리'로 구성되었다.
책머리에
제1부 채만식 소설의 세계 인식과 미적구조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와 연구사 검토 2. 분석의 시각과 방법 제2장 낭만적 세계인식과 이원적 대립의 구성 1. 자기 욕망의 동일성과 초월의 구도 2. 풍자의 전략과 구조, 그 사적(史的)전개의 의미 3. 단일성의 가치체계와 선험적 이념형의 지평 1) 평면적 인물과 의미의 집중 2) 당위론적 포괄과 욕망의 우열화 3) 서술 우위의 서사와 주관적 서술 제3장 현실주의적 세계 인식과 이항적 대비의 구성 1. 현실주의에서 허무주의로의 여로(旅路) 2. 욕망의 존재론적 수용과 의미의 소거 3. 욕망의 복수적 계열화와 중립성의 의미 1) 유동적 인물과 의미의 집적 2) 존재·당위의 분열과 욕망의 양극화 3) 서술·묘사의 균형과 중립적 서술 제4장 허무주의적 세계 인식과 병렬적 나열의 구성 1. 허무주의의 수락과 체념의 논리 2. 허무의 그림자 걷어내기, 혹은 사소설(私小說)의 내적 동기 3. 욕망의 환유적 구조와 퇴행적 탈승화 1) 고형적 인물과 의미의 해체 2) 존재론적 포괄과 욕망의 탈승화 3) 묘사 우위의 서사와 자연주의적 서술 제5장 결론
제2부 채만식 문학의 내적원리 제1장 채만식과 카프와의 관계 1. 문제 제기와 연구사 검토 2. 프로문학에 관한 채만식의 기본적 태도 3. 채만식과 카프의 논쟁 ─ 이갑기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4. 채만식의 현실주의와 추상적 이념형으로서 사회주의 제2장 채만식 문학 연구의 반성 ─ 친일 문제와 관련하여 1. 채만식의 인식론적 분열과 친일문제 2. 채만식의 친일문자행위와 연구사 1) 친일과 항일의 이분법─김윤식의 경우 2) 친일의 내적 논리의 구성─류보선의 경우 3) 친일의 내적 논리의 구성─김재용과 한수영의 경우 4) 주관적 신념과 민족주의 담론의 오류 ─ 최유찬의 경우 제3장 결론
│참고문헌│
한국 근대 한문체소설 연구 : 1906년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 Modern Korean fiction in classical Chinese : a study of newspaper serials from 19062019 / 지음: 윤성룡 / 소명출판
현대소설의 문학교육적 해석2007 / 윤영옥 지음 / 역락
명작의 공간을 걷다 2020 / 글·사진: 이경재 / 소명출판
한국 현대문학의 공간과 장소 : 미쓰비시 사택에서 뉴욕의 맨해튼까지2017 / 지음: 이경재 / 소명출판
이광수 장편소설 연구 : 일본의 여성학자가 밝혀낸 한국소설 진화론의 플롯!2014 / [저술및번역]:와다 토모미 ; [번역 감수]:방민호 / 예옥
인간주의 비평을 위하여1998 / 이기철 지음 / 좋은날
민촌 이기영 평전2019 / 지음: 이성렬 / 살림터
채만식 문학의 인식론적 지형도와 구성원리 = (The) epistemological topography and principle of construction in Chae, Man-sik's literature2011 / 이도연 지음 / 소명출판
한국소설 속의 신앙과 이성 : 이동하 문학평론집2007 / 이동하 저 / 역락
근대 애정소설연구2001 / 이미향 / 푸른사상
한국 현대소설의 연구2001 / 이보영 지음 / 예림기획
이상소설의 해석2001 / 김성수 지음 / 태학사
한국문학과 시대의 상상력2003 / 이상갑 [지음]. / 월인
격동기, 단절과 극복의 언어 :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논문집 20152015 / 지음: 이숭원, 강헌국 [외] / 민음사
1960년대 소설 연구 = (The) idea and reality of freedom in 1960s literature : 자유의 이념, 자유의 현실2013 / 이수형 지음 / 소명출판
'중심'의 회복을 위하여 = On the way to the axis mundi, the sacred center of the world reading comtemporary novels through myth and symbol : 신화와 상징으로 현대소설 읽기2014 / 민혜숙 [지음] / 소명
쾌족, 뒷담화의 탄생 : 살아있는 고소설2014 / 지음: 이민희 / 푸른지식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 : 소설가 박완서 대담집2016 / 엮은이: 호원숙 / 달
갈라파고스 수용소 : 사이비 종교의 범죄 행각과 그를 비호하는 자들의 실체2014 / 허병주 지음 / 비봉
텍스트와 콘텍스트, 혹은 한국 소설의 현상과 맥락 : 손정수 평론집2016 / 지은이: 손정수 / 자음과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