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즘의 좌표와 실천적 방향에 대해 깊이 고민한 하상일 신간. 이 평론집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리얼리즘‘들’의 혼란을 넘어서는 문학의 방향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저자는 자본과 문명 그리고 미디어와 기계에 독자들을 모두 빼앗겨버렸다는 데서 ‘문학의 위기’의 원인을 찾는 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문학조차 현실을 외면해버림으로써 대중독자들은 더 이상 문학을 신뢰하지 않게 되었다는 근본적인 자기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_제2부 우리 시의 현실인식과 사회학적 상상력의 방향 2000년 이후 우리 시를 둘러싼 논쟁과 불협화음 소통의 언어와 시의 윤리 자본과 기술 그리고 시 리얼리즘‘들’의 혼란에 맞서는 시의 방향 이만큼의 자본주의, 이정도의 지구 마을 21세기 초 리얼리즘시의 위상과 의미 그리움의 시와 사랑의 노래 상욱의 시세계
_제3부 비평의 현실과 비평의 방향 비평의 위기를 넘어서는 비평의 육성 고명철 평론집『뼈꽃이 피다』(케포이북스, 2009) 신비화된 권력에서 진정한 비평가로 1960년대 젊은 김현에게 탈현실의 시대, 문학의 역사의식 문학성과 대중성 사이, 그 소통의 딜레마 이외수의 소설세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의 역사성과 현재성 윤동주와 재일 디아스포라 식민의 현실과 민중의 생활에 뿌리 내린 서사적 진실 요산 김정한의 「사하촌」의 현장을 찾아서
서가브라우징
언젠가 그대가 머물 시간들 : 우리 문학이 그린 서른두 개의 사랑 풍경2011 / 최재봉 지음 / 한겨레출판
언젠가 그대가 머물 시간들 : 우리 문학이 그린 서른두 개의 사랑 풍경2011 / 최재봉 지음 / 한겨레출판
서사의 운명 : 최혜실 문학평론집2009 / 최혜실 / 역락
한국 근대문학의 몇 가지 주제2002 / 최혜실 저 / 소명출판
해체와 역설의 시학2003 / 최현주 지음 / 새미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2004 / 김재용...[등]편역 / 역락
(제1회)평사리 문학대상 수상작품집2002 / 정지형 외 / 제3의문학
리얼리즘 '들'의 혼란을 넘어서 = Beyond the confusion of realism's' : 하상일 비평집2011 / 하상일 지음 / 케포이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