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당시(唐詩)의 해제
1. 당시란 어떤 시인가?
2. 당대 정치 사회상의 특징
3. 당대 문학의 특징
1) 초당(初唐)
2) 성당(盛唐)
3) 중당(中唐)
4) 만당(晩唐)
Ⅰ. 초당(初唐) 의시
■ 왕적(王績, 585~644)
■ 왕발(王勃, 649~676)
■ 진자앙(陳子昻, 661~702)
■ 송지문(宋之問, 656?~712?)
■ 이교(李嶠, 644~713)
■ 심전기(沈佺期, 656?~713)
Ⅱ. 성당(盛唐)의 시
■ 장열(張說, 667~730)
■ 왕한(王翰, 687~726)
■ 최호(崔顥, 704?~754)
■ 왕창령(王昌齡, 698?~757?)
■ 왕유(王維, 701~761)
■ 맹호연(孟浩然, 698~740)
Ⅲ. 시선(詩仙)과 시성(詩聖)
■ 이백(李白, 701~762)
■ 두보(杜甫, 712~770)
Ⅳ. 중당(中唐)의 시
■ 고적(高適, 702~765)
■ 잠참(岑參, 715~770)
■ 위응물(韋應物, 737~790?)
■ 한유(韓愈, 768~824)
■ 맹교(孟郊, 751~814)
■ 유종원(柳宗元, 773~819)
■ 가도(賈島, 779~843)
■ 장적(張籍, 768?~830?)
■ 유우석(劉禹錫, 772~843)
■ 양분(楊賁, 800년 전후)
■ 이하(李賀, 790~816)
■ 노동(盧仝, 795?~835)
Ⅴ. 신악부파(新樂府波) 시인들
■ 백거이(白居易, 772~846)
■ 원진(元稹, 779~831)
■ 이신(李紳, 780~846)
Ⅵ. 만당(晩唐)의 시
■ 두목(杜牧, 803~852)
■ 이상은(李商隱, 812~858)
■ 섭이중(聶夷中, 837?~884?)
■ 육구몽(陸龜蒙, ?~881?)
■ 조업(曹鄴, 816~875?)
■ 관휴(貫休, 832~912)
■ 피일휴(皮日休, 834?-)
■ 두순학(杜荀鶴, 846~907)
■ 왕곡(王穀, 900년 전후)
● 색인(索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