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우물 안 개구리 닮은 한국 언론
세계는 우리를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
높이 날아 멀리 내다보는 새
컬럼비아대학 총장이 던진 메시지
"언론자유는 충만하다?"
언론자유와 자유언론의 의미
Freedom of Speecher와 Freedom the Press의 차이
프레스와 미디어의 차이
프레스는 저널리즘이다.
'프레스'만이 갖는 언론의 자유
언론자유, 그 사랑과 미움
아웅산 수치의 첫 마디는 '언론자유'
21세기에 적중한 토크빌의 통찰력
천하의 나폴레옹마저 두려워한 언론
한국의 자유언론
예멘의 언론전쟁
고삐 풀린 광복 후의 언론
3공화국과 박 대통령의 언론관
5, 6공, 권언유착에서 선정주의 보도까지
민간정부의 교묘한 언론통제
자율성과 독립성을 상실한 언론인들
한국인들의 언론자유
언론자유가 민주주의 사치품?
리콴유와 한국의 뉴미디어
텔레비전에 대한 절망과 인터넷
성찰(省察) 민주주의의 주창자들
인터넷에 대한 회의
리콴유의 냉소는 한국에도 적용되는가?
완벽한 언론자유와 무제한의 언론자유
언론자유의 한계
언론자유에 대한 오해
부정의 자유와 긍정의 자유
2부
언론자유의 기원과 발전
1) 고전 자유주의와 언론자유
계몽주의
카토의 편지
2) 미국의 수정헌법1조
3) 자유언론과 '제4부'
스튜어트 연방대법관의 예일대학 연설
제4부에 대한 한국의 오해
4) 허친스 보고서와 공동체주의
5) 정부를 해결사로 여긴 신자유주의자
'자유언론'과 '사법부'는 민주주의의 두 기둥
1) 미국의 경우
정부보다 사법부를 더 믿는다
연방대법원의 첫 언론 자유 판결
셜리번 판결과 공직자 명예훼손 소송
국가안보 대 국민의 알 권리, '펜타곤 보고서' 재판
'방송'에는 용납해도 '신문'에는 금지하는 정부 개입
2) 영국의 경우
영국에는 워터게이트가 있을 수 없다
다이아나 비의 죽음과 명예훼손법
3) 스웨덴의 경우
세계 최초의 정부공개법
문화재라 불리는 보조금
언론을 보호하기 위한 언론법
4) 한국의 경우
대통령과 검사들의 명예훼손 소송, 편향된 판결
자유보다 언론의 책임 강조한 헌법재판소
세계 유일의 '언론중재위원회'
대통령·정부·공무원들을 위한 중재위
3부
왜 언론자유, 자유언론인가?
1) 국민의 알권리와 자유언론
국민의 알권리는 왜 필요한가?
국민의 알권리와 기자들
2) '자스민 혁명'과 언론자유
국가발전과 자유언론
3) 어떤 언론이 필요한가?
공익이론과 국민선택이론
어느 이론이 합당한가?
공영방송은 선이고, 민영방송은 악이다?
4) 정치발전과 언론의 비판기능
깨어있는 시민을 위하여
언론자유 없을수록 낮은 국민의 정치의식
투명한 정치, 투명한 정부
자유언론은 공무원을 돕는다
자유언론의 비판은 대통령의 숙명
군대는 언론을 피하지 않아야 한다
언론은 정부의 도구가 아니다
언론은 이념보다 돈이 더 중요하다?
5) 경제발전과 언론자유, 자유언론
두바이의 욕망
인도의 가난
북한과 짐바브웨이의 현실
경제파수꾼이기도 한 언론
언론자유는 '제도자본'의 핵심
통제중국과 네트워크 중국의 충돌
언론은 경제발전의 머슴
자유언론은 경제의 상식을 만든다
기업 거버넌스에서의 언론의 영향과 역할
'합리의 무지'가 던지는 역설
6) 햇볕이 최고의 소독제이다!
착취형 부패와 결탁형 부패
페루를 살린 '양심 언론'
탐사보도로 쫓겨난 최고 지도자들
기자의 한계, 언론의 한계
에필로그 언론자유, 자유언론은 미래를 위한 가치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