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수명 시인의 첫 시론집. 이수명 시인은 1994년 「작가세계」로 등단하고, 2004년 네 번째 시집 <고양이 비디오를 보는 고양이>를 출간한 중견시인으로서 시론집 출간은 이번이 처음이다. 등단 이후 김구용 연구로 중앙대 문창과에서 박사학위를 받는 등 시문학에 관한 다양한 글을 여러 잡지에 발표하였는데, 1990년대 후반부터 10년 남짓한 기간에 쓰인 글들을 이번 시론집에 모아 엮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횡단
말한다는 것, 그리고 쓴다는 것
시론 1
시론 2
시는 미지의 언어
시는 쓰여질 수 없는 시의 징후이다
소통되지 않는 시간과 공간들의 이상한 집합 ―내 시 속의 시공 의식
두 개의 비유
고양이가 나를 훔쳤어요 ―상징과 사물
우리에겐 더 많은 분산과 상극, 고립이 필요하다
우리는 영원히 미끄러진다 ―인터넷과 문학
제2부 횡선
1950년대 초현실주의의 운명 ―김구용 시와 위상
우리는, 투명한 자들은, 더 멀리 나아갈 것이다 ―1990년대 시에 대한 소고
미래파를 위하여
비로소 모든 뚜껑을 열고 ―21세기 우리 시는 무엇인가
한국 아방가르드 시의 계보에 대한 노트
제3부 횡보
직선을 그을 수 있는 무한 ―김구용 시인과의 가상 인터뷰
누가 비누를 보았는가 ―이승훈의 『이것은 시가 아니다』
빈 과일바구니를 뜯어먹는 벌레의 꿈 ―최승호의 『모래인간』
죽음 놀이, 질문하지 않는 방식 ―홍신선의 『우연을 점 찍다』
잠들지 못하는 세계의 눈 ―김민정의 『날으는 고슴도치 아가씨』
제4부 선회
흙냄새를 맡으며 비스킷을 ―전봉건의 「BISCUIS」
뼈 없는 뿔 ―김춘수의 「처용단장 3부-40」
상처와 꽃 ―이성복의 「무언가 아름다운 것」
‘그것’의 불가능성 ―이준규의 「모른다」
눈먼 시계 수리공 ―이영주의 「시각 장애인과 시계 수리공」
관점이 소멸하는 곳에 토끼는 있다 ―김성대의 「귀 없는 토끼에 관한 소수의 견」
얼굴에 대한 참회 ―넬리 작스의 「얼굴을 돌리고 나는 기다린다」
제5부 횡렬
미의 침입 ―토마스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
빌보케의 장난 ―르네 마그리트論
선은 인간을 깨운다 ―베르나르 브네論
나는 늘 자신으로부터 달아난다 ―마르셀 뒤샹論
발표지면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