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I. 보수와 수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보수의 개념화
2. 수구의 개념화
II. 보수 및 수구 이념의 특징
1. 세계관
(1) 하나 또는 두 개의 세계
(2) 유토피아에 대한 상반된 입장
2. 인간관
(1) 인간 이성 불신
(2) 여성관
3. 정치·사회관
(1) 민주주의 비판
(2) 자유주의로의 전환
■ 자유주의의 전제가 갖는 문제
■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3) 귀족과 주변인
(4) 사회 변화에 대한 태도
■ 실리주의 대 원리주의
■ 온건주의 대 극단주의
III. 한국의 보수와 수구
1. 보수 이념의 역사
(1) 자유주의와 자유민주주의
■ 개화파의 자유주의 수용
■ 일제의 식민주의와 자유주의
■ 일제 시기 자치론
■ 미군정기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
■ 이승만 정권 시기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주의
■ 장면의 민주주의관
■ 이승만의 자유방임주의와 장면의 경제제일주의
■ 전두환 정권의 ‘단임 정신’과 자유화 조치
■ 노태우 정권 시기 민주주의론
■ 뉴라이트와 기업의 자유주의론
(2) 실리주의와 실용주의
■ 이완용의 실리주의
■ 일제의 실리주의 정책
■ 미군정기 실용주의적 민주주의
■ 박정희 정권 시기 개인주의와 실용주의
■ 현대 보수주의의 실용주의와 실리주의
(3) 반공주의
■ 미군정과 한민당의 반공주의
■ 이승만의 반공주의와 친일
■ 박정희 정권 시기 반공주의
■ 노태우 정권 시기 반공 이념의 변화
■ 보수 단체의 반공·반북 운동
2. 수구 이념의 역사
(1) 반자유주의
■ 일제 시기 자유주의 비판
■ 이승만 정권기 자유민주주의 비판
■ 박정희 정권의 자유민주주의 비판
■ 전두환 정권의 민주주의 비판과 정의사회론
(2) 국가주의
■ 일제의 군국주의
■ 미군정기 교육 이념
■ 이승만 정권의 일민주의
■ 박정희 정권기 ‘수식어 민주주의’
■ 현대의 국가주의
(3) 근본주의
■ 일제 시기 전후의 유교
■ 일제 시기 전후의 기독교
■ 이승만의 기독교 운동과 유교 의식
■ 기독교와 반공
■ 유교의 재해석과 기독교의 집회 활동
나가며: 파도에 맞서거나 파도를 타거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