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기 다른 분야의 고전문학 전공자인 교수들이 청소년들을 위해 집필한 고전문학 대안교과서. 3권 ‘고전문학, 나를 깨우다’에서는 인간[人]의 이야기를 담았다. 시대와 문화의 차이는 있지만 고전문학이 보여주는 자아를 찾아가는 길, 사랑과 우정, 존경과 갈등의 관계는 근현대문학 못지않은 공감과 감동을 준다.
머리말 열두 가지 삶의 주제로 읽는 고전 문학 이야기 프롤로그 나와 너, 그리고 우리의 이야기
1 나를 찾아서 나 의 이름을 기억한다는 것 1 나는 누구인가 2 자아의 성장과 변모 3 나의 길을 가련다 4 여성의 자아 찾기 갈래 이야기 영웅 소설, 조선 시대 사람들이 가장 즐겨 읽던 이야기책
2 가족의 재발견 가족에 숨겨진 비밀 1 육친의 정에서 우러나온 효심 2 애증이 뒤얽힌 부자 관계 3 애틋하고도 어려운 부부 사이 4 정겹고도 깨지기 쉬운 형제애 갈래 이야기 설화와 옛 노래, 그 공존과 어우러짐의 기원
3 사랑은 나의 힘 저마다의 사랑, 그 다양한 변주 1 산 자와 죽은 자의 사랑 2 임의 부재, 그리움의 시간 3 금지된 사랑, 그 황홀한 고통 4 험난한 사랑의 길 5 낭만과 열정의 에로티시즘 갈래 이야기 애정 소설, 사랑에 울고 웃다
4 세상과 관계 맺기 우정과 환대의 관계 만들기 1 벗, 또 다른 나 2 스승과 제자, 그 만남의 소중함 3 나와 집단, 함께 살아가기 위하여 4 자연과 벗하며 만물과 함께 살기 갈래 이야기 한시, 마음으로 읽는 감동의 서정
참고 문헌 인명 찾아보기 책명·작품명 찾아보기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 : 17세기 소설사 : a study about history of Korean fiction on 17th century2013 / 지은이: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 소명출판
원홍장과 심청전2004 / 박혜범 저 / 박이정
한국 고전문학의 여성적 시각 = Feminist perspective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2017 / 지음: 박혜숙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