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 고통에 대한 미국식 진단과 처방은 과연 전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것일까? 즉 거식증은 비뚤어진 현대사회의 욕망이 만들어낸 질병이며, 심한 정신적 고통에는 상담을 받는 것이 당연하고, 불안하거나 우울하면 약을 통해 뇌의 화학적 균형을 맞추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정신분열병 환자라면 격리해서 치료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과연 그럴까?
목차
서론 누가 정상과 비정상을 결정하는가?
1장 그녀는 왜 음식을 거부했을까? -홍콩의 거식증 어느 환자의 죽음 음, 양기, 기 개인적 실험과 세계적인 전파 역사의 거울 증상 풀에 뛰어드는 새로운 행동 깨끗한 서판 완차이 거리에서의 죽음 노란꽃보다 더 가늘었다 아름다움에 대한 거짓말들 '나도' 거식증 환자들 한 비정형 거식증 환자와의 만남 거식증의 상품화 패배한 투쟁
2장 쓰나미 이후, 그들에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스리랑카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케이트 카오스 분명한 부인 외상치료 인민군 스리랑카의 회복력 케이트 카오스, 2부 확신의 과시 고통의 세계적 차이 교육인가 주입인가? 대담함의 증가 고통을 경험하는 미국적 방식 의미를 제거한 외상 내전의 재점화
3장 다른 세계가 고통을 경험하고 치유하는 방식 -탄자니아 잔지바르의 정신분열병 먹구름에서 적도의 태양으로 부수적인 내용 대 본질적인 형식 혁명과 광기 그는 내 심장까지 들여다본다 가족의 감정적 온도 감정 표현과 정신분열병 신의 축복 머릿속의 존재들 문화를 초월한 감정 생의학적 서사가 마을에 당도할 때 생의학적 서사의 출현 단지 화학작용이라니! 배울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음역본
4장 우울증을 팝니다 -일본에서 다국적 제약회사가 벌인 '마음의 감기' 메가마케팅 콜레라 시대의 정신의학 일본 최초의 정신건강 유행병 슬픔의 문화 잃어버린 10년에 광고 회사에 입사한 젊은이 정크사이언스와 제1세계 의학 울증의 메가마케팅 진보의 속도를 높여라 과학이라는 눈가리개 자살과 SSRI 얼리어답터들이 한 번 더 생각한다
결론 우리도 그들처럼 미쳐가고 있다
참고문헌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말의 표정들 : 미디어 문화의 실천과 소통의 윤리2014 / 김예란 지음 / 문학과지성사
유럽의 문화통합 : 현 상황과 미래 전망2011 / 김용민, 최경은 엮음 / 연세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