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주제가 교차하고 충돌하며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한국학, 그 치열하고도 매혹적인 탐구의 현장을 문학·역사·철학·미술·음악·연극·복식·군사 등 문文·사史·철哲·예藝를 아우르는 젊은 인문학자 27인이 저마다 기막힌 볼거리와 사연을 띄워 안내한다.
장벽과 경계를 허문 열락의 공간에서 / 정민
제1부 그림에서 그리움을 읽다 한겨울 매화를 탐하다 / 신익철 떠날 수 없으면 담아서라도 촛불 아래 매화음 얼음등불로 비추다 이인상 ‘야매도’ 의 정황 표암이 새긴 복날의 추억 / 강혜선 스스로 즐기는 삶 개 잡는 풍속 여전하여 울울한 날의 시 처남남매의 시화상간詩畵相看 한강의 절경 두호斗湖를 찾아서 / 이종묵 시서화의 산실, 파강과 두호 황덕길의 글을 타고 유람하다 정선의 눈으로 인문人文읽기 두호의 풍류와 황덕길 박제가와 나빙의 예술 교유 / 이홍식 박제가, 그림으로 되살아나다 나빙, 묵매로 정을 그리다 박제가, 시로 화답하다 이별, 그리움을 품고 살다 숭정황제의 현금과 조선 지식인 / 안대회 마지막 황제의 유품 대명의리에 공명하다 비운의 주인, 기구한 유물 정조 임금이 하사한 귤 술잔 / 김동준 귤이 만든 네트워크 정조의 귤 이용법 귤잔에 담긴 뜻 탱자로 술잔을 만들리 다산의 부정이 담긴 매조도梅鳥圖 두 폭 / 정민 멧새 한 쌍 내 뜰에 머물러 한 마리만 남아 하늘가를 떠돌리 노래로 남은 홍임 모녀 이인행에게 건너간 사연
제2부 그림의 속살과 내면 풍경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투명성 / 김선영 지혜의 현현 투명해진 백의 광물질 안료와 배채법을 쓰다 장구한 자연을 좇아 400년 전 화가의 눈에 비친 북악과 숙정문 / 진준현 17세기 화원화가 이신흠 부자 2대 급제자들이 모이다 안국동에서 바라본 풍경 겸재의 그림에 담긴 바위글씨 / 고연희 제화시의 출처 보이는 것, 그리고 보이지 않는 것 고아한 바위글씨, 권력의 문화가 되다 사람을 분별하는 누각 서루西樓 / 이경화 결연하구나! 취하고 버림이 유폐된 영혼의 꿈 화가는 누구인가? 죄인의 자식들 주교도舟橋圖로 보는 정조 시대 실용회화 / 유재빈 화성 능행의 대미 ‘노량주교도’ 어떻게 시각질서가 위계질서를 압도하게 되었나? 문왕의 배다리를 본받아 경세제민과 태평성대의 시각화 구한말 서울의 한 상업가 이야기 / 윤진영 사진 속의 인물들 주인섭은 누구인가? 사진 속의 그림들 지전紙廛과 십장생도병 무관에서 상업가로
제3부 무대와 그림이 만날 때 조선시대 제도권 음악의 얼굴들 / 송지원 예악의 산실 장악원 지역문화의 전초기지 교방 세악수, 관민을 누비다 선비의 풍류정신과 그 변모 / 임미선 소리 없는 소리로부터 풍류방으로 진화하다 다변화하는 레퍼토리 속악을 품다 침향산으로 완성하는 산대山臺의 미학 / 최윤영 산의 재현 축제를 견인하다 산대의 부재 풍자에 살고 자유에 살고, 두 광대 이야기 / 사진실 불굴의 풍자정신, 공길 또는 공결 불경인가 충언인가 장생, 광대의 화신 청과 안남의 외교, 그리고 조선 사절의 시선 / 이창숙 안남 왕의 조카에게 잔치를 베푸는 장면 조선 사절단의 정보 수집력 희대에서는 어떤 작품이 상연되었나 18세기 후반 연행 사신이 접한 회자정희와 등희 / 안상복 회인들의 줄타기 한바탕 소리는 우르르 불꽃은 폭포처럼 서문경도 즐긴 등불놀이
제4부 그림, 인간과 역사를 논하다 인간에 대한 퇴계의 생각 '성학십도聖學十圖’ / 함영대 천성과 심성을 그리다 제1도의 탄생 삶의 시원에 대한 한 성찰 전쟁 같은 마음 수양, 남명의 ‘신명사도神明舍圖’ / 윤주필 성곽의 안팎 그 상징성 마음이라는 나라 신명 수양의 요체, 경敬과 의義 임진왜란과 조선의 전술 변화 / 노영구 그림에 전술이 보인다 기병이 우위를 점할 때 보병이라야 한다 전쟁에 의한 전력 평준화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외무고시 / 정승혜 역관이 되는 길 시험 방법과 범위 왜학 역관 현계근의 탄생 그의 답안지를 엿보다 정조의 화성 행차와 배다리 / 김문식 배 77척을 시작으로 비용을 반 이상 줄이다 주교도가 보여주는 것들 조선 제일의 다리 한글 의궤로 되살아난 단원의 ‘화성십육경’ / 옥영정 ‘덩니의궤’, 독자를 가르다 ‘화성십육경’ 은 화사畵師 김홍도의 그림 남은 두 폭으로 관觀하다 파리외방전교회 성당에 걸린 그림 / 정병설 순교자의 출발 아름다운 발이여 죽음을 택하다 자기를 이긴 사람들 순교 이후의 프랑스와 조선 구노와 쿠베르탱 근대화의 관문 양장의 선구자 / 이경미 박영효 사진 한 장의 충격 언제 어디서 찍었을까? 1882년 그의 일본 스케줄 양복, 근대를 입다 이후 조선의 의제 개혁
찾아보기
그림소담 : 간송미술관의 아름다운 그림2014 / 탁현규 지음 / designhouse(디자인하우스)
사임당의 뜰2017 / 탁현규 지음 / 안그라픽스
조선 미술관 :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문화 절정기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 2023 / 지음: 탁현규 / 블랙피쉬 :
조선 미술관 :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문화 절정기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 2023 / 지음: 탁현규 / 블랙피쉬 :
삶의 쉼표가 되는, 옛 그림 한 수저 2020 / 지음: 탁현규 / 이와우
삶의 쉼표가 되는, 옛 그림 한 수저 2020 / 지음: 탁현규 / 이와우
(靑蘭) 韓慶析 作品集2011 / 한경석 그림 ; 한옥수 엮음 / 굿웰빙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 젊은 인문학자 27인의 종횡무진 문화읽기2011 / 정민 ; 김동준 외 지음 /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