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이름, 묘호 : 하늘의 이름으로 역사를 심판하다
발행연도 - 2010 / 임민혁 지음 / 문학동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52199
-
ISBN
9788954613675
-
형태
158 p., 도판 [8] p. 20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한국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책소개
하나의 키워드로 한국문화를 읽을 수 있는 '키워드 한국문화' 시리즈 7권. 황제나 왕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붙이는 호, 묘호. 삼국시대에서 시작해, 마침내 조선의 '예'를 상징하게 된 묘호는, 조상의 지혜가 온축되어 있는 거대담론의 결정체다. 태조, 세종, 정조…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왕의 이름인 '묘호'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1. 삼국시대 국왕의 묘호
신라
고구려와 백제
2. 황제국의 묘호를 사용한 고려
3. 조선, 묘호로 예를 바로세우다
이름을 올려 나라의 정통을 세우다
묘호의 제정원리인 종법과 조공종덕
종묘의 신주에 깃든 이름
묘호를 쓸 것인가, 시호를 쓸 것인가
외교분쟁으로 비화된 묘호 사용 논란
4. 이름으로 국왕의 공덕을 평가하다
반정으로 즉위한 국왕은 조인가, 종인가
성종의 시자를 놓고 훈구와 사림이 대립하다
종을 조로 고쳐야 권위가 높아진다
5. 3백 년, 공정왕이 묘호를 받기까지
유일하게 왕을 칭한 공정왕, 정종
이방원이 종통을 가로채다
공정왕은 정통 군주가 아니다
죄 없는 공정왕, 조호를 받다
6. 대한제국의 황데, 그 아픈 이름
화엦로 즉위한 고종, 황권을 천명하다
7대조의 황제 추봉
대한제국의 황실의 지위 변화
고종의 황제 호칭 말살 음모
총독부의 고종 시호 무효화 책동
대한제국 황제 칭호의 소멸론을 폐기하다
7. 묘호의 의미
주
키워드 속 키워드
1 시법
2 시호는 하늘이 내리는 이름
3 시호와 존호, 휘호의 차이
4 묘호의 결정 과정
5 시법이 무너지다
6 공정왕의 생애
7 흥선대원군도 왕이다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