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통해 '우리가 몰랐던 우리의 초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이 시대의 대표적인 진보논객 박노자. 사실 그는 가야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다수의 한반도 고대사 관련 논문을 발표한 고대사 전문연구자이다. 이 책 <거꾸로 보는 고대사>는 한반도 고대사가 주전공인 박노자가 선보이는 첫 고대사 교양서이다.
목차
추천의 글 다문화 상생사회의 고대사를 위하여 들어가며 수난의 근현대사와 위대했던 고대사
제1부 우리는 만주의 주인이었는가 단군보다는 소서노가 어떤가 고조선이 만주를 지배했다고? 낙랑군은 침략자였는가 고구려와 중국은 철천지원수였나 고구려는 정말 제국이었나 고구려 승려에게 국적이 있었나
제2부 신라는 민족의 배신자였는가 신라는 발해를 동족으로 생각했나 화랑은 무사 집단이었을까 신라는 민족의 배신자인가 통일신라시대에 ‘우리’란 ‘반미’처럼 ‘반당’이 있었을까 풀이 일어나 신라를 끝장내다 궁예, 불교국가의 이루지 못한 꿈
제3부 일본은 언제나 우리의 적이었는가 박제상은 적국으로 갔는가 5세기 왜인들은 ‘후진 종족’이었나 역사학계 한-일전 ‘임나일본부설’ ‘이마에 뿔 난 사람’의 진실 생존 위해 왜를 이용했던 가야 소국들 구원병 자격으로 한반도를 찾았던 왜군 백제 유민, 망명지로 왜를 택하다 통일신라-일본의 친교는 왜 잊혀졌나
제4부 고대국가, 억압과 저항의 이중주 고대는 남근석의 나라 김유신과 간통죄 고대 한반도는 공포의 전제왕국? 신라엔 왜 금속화폐가 없었을까 조공을 바치면 속국이다? 신라에선 승려가 무당? 비판적 지식인의 탄생
나가며 ‘고여 있는’ 민족사 대신 ‘흘러가는 고대사’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2013 / 김영태 지음 / 동국대학교출판부
태극의 진화 : 대한민국 역사 누가 왜곡, 무시하는가? : 아리랑을 사랑하는 님에게 드리는 6천 년 배달나라 역사비평서 2021 / 지음: 김제백 / 바른북스
韓國 古代國家의 奴隸와 農民1999 / 金鍾璿 저 / 한림대학교 아시아 문화연구소
(대륙에서 해를 쫓은)박달족의 이야기 : 신화에서 역사로2015 / 지음: 김호림 / 글누림
한사군은 중국에 있었다 : 처음부터 새로 읽는 한국고대사2016 / 지음: 문성재 / 우리역사연구재단
요하문명과 예맥2012 / 문안식 지음 / 혜안
요하문명과 예맥2012 / 문안식 지음 / 혜안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2010 /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박영규의) 고대사 갤러리 : 동이에서 발해까지2015 / 지음: 박영규 / 옥당
규원사화2008 / 지음: 북애자 ; 옮김: 민영순 / 다운샘
정역 중국정사 조선·동이전. 1 : 《사기》·《한서》·《삼국지》·《후한서》에 기록된 우리고대사의 기원과 실체! 2021 / 지은이: 사마천 외 ; 옮긴이: 문성재 / 우리역사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