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문화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획개발 과정을 표준화하고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난 몇 년 간의 환경 변화가 기획개발 단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창의성 발현의 병목지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획개발 에이전시의 활성화를 통해 한국 문화산업의 장르 간 교류와 크로스 미디어 기획 역량을 강화하고 협력망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요약문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보고서의 구성
Ⅱ. 한국영화 기획 개발 구조와 현황
1. 한국영화 기획 개발 환경
2. 한국영화 기획 개발 구조
3. 해외 주요 국가와의 기획 개발 현황 비교
Ⅲ. 기획 개발 구조 개선 방향
1. 기획 개발 공공 마켓 활성화
2. 단체의 활동과 집단 창작 시스템 도입
3. 기획 개발 제도와 계약 관행의 개선
4. 제작사 위상의 정립
5. 인 하우스 시스템의 정착
6. 창작자 네트워크 기획 개발 시스템 육성
Ⅳ. 에이전시의 효용성과 사례
1. 에이전시의 필요성과 특징
2. 에이전시의 기능
3. 에이전시의 사례 검토
Ⅴ. 기획 개발 에이전시 도입 방안
1. 에이전시의 도입 타당성 검토
2. 에이전시 정착을 위한 제도 검토
3. 기획 개발 전문 에이전시 공공 출자사업(안)
4. 기획 개발 전문 에이전시 출자사업(안)
참고문헌
부록: 공인 연예인 관리자의 업무 등에 관한 법률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