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이언적의 시대와 생애
제1장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1. 훈구와 사림의 대립 - 4대사화
2.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 제도들
제2장 사상적 배경
1. 성리학의 성립
2. 성리학의 수용
제3장 이언적의 생애와 저술
1. 이언적의 생애
2. 저술 및 판본
제4장 이언적 관련 유물과 유적
1. 이언적수필고본일괄(李彦迪手筆稿本一括)
2. 옥산서원(玉山書院)
3. 묘소와 달전재사(達田齋舍)와 신도비
4. 독락당(獨樂堂)과 계정(溪亭)
5. 이언적 종택과 향단
제2부 이언적의 철학 사상
제1장 태극논쟁
1. 논쟁의 배경이 된 『태극도설』과 주륙논쟁
2. 태극논쟁
제2장 『대학장구(大學章句)』개정
1. 『대학장구』와『대학장구보유』
2. 『대학장구』개정의 내용과 근거
3. 격물치지
제3장 단본청원(端本淸源)의 심학(心學)
1. 심본론(心本論)
2. 입인극(立人極)의 실천철학
제4장 치중화(致中和)의 경세관
1. 격군론(格君論)
2. 민본론(民本論)
3. 치중화(致中和)의 경세관
제5장 이언적 철학의 의미
1. 태극논쟁의 사회적 역할과 철학사적 의미
2. 이언적 경학사상의 의미와 역할
3. 이언적 사상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한계
제3부 이언적의 저술
제1장 시(詩)
1. 산당에 병이 일어(山堂病起)
2. 주문공 무이오곡운에 붙이다(次朱文公武夷五曲韻)
3. 배우는 이에게 권하노라(勸學者)
4. 망기당운에 붙이다(次忘機堂韻)
제2장 부(賦)
1. 이로움을 말하는 입이 나라를 망친다(利口覆邦家賦)
제3장 잡저(雜著)
1. 망재와 망기당이 무극태극에 대해 논한 뒤에 쓰다(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
제4장 무극태극 논쟁 편지
1. 망기당에게 답한 첫 번째 편지(答忘機堂第一書)
2. 망기당에게 답한 두 번째 편지(答忘機堂第二書)
3. 망기당에게 답한 세 번째 편지(答忘機堂第三書)
4. 망기당에게 답한 네 번째 편지(答忘機堂第四書)
제5장 론(論)
1. 이윤이 다섯 번 탕임금에게 간 것을 논함(伊尹五就湯論)
제6장 서(序)
1. 대학장구보유 서문(大學章句補遺序)
2. 중용구경연의 서문(中庸九經衍義序)
3. 구인록 서문(求仁錄序)
4. 봉선잡의 서문(奉先雜儀序)
부록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