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1장│수용의 의미와 한국 문학사의 전개
1 전통과 수용
2 수용의 주체와 양상
3 자료에 대한 동아시아적 접근: 『고금주』와 왕인
2장│견문과 성찰: 유학생 사신들의 외국체험
1 한국 고전문학과 유학생 사신들의 해외체험
2 '타자'로서의 자기확인과 거리의식: 최치원
3 반면교사로서의 해외체럼: 이제현
4 '배움'과 상호평가의 기회로서의 해외체험: 김일손
5 집단체험과 성찰의 한계: 조선통신사
3장│전이와 갈등: 귀화인과 외국 사신들을 통한 외래 문학·문화 유입
1 귀화인을 통한 외래 요인의 이식
2 외국 사신들의 체험 기록과 문학적 역할
3 외국 사신들의 양명학 전이와 갈등
4 외국 사신들의 관제묘(關帝廟) 이식과 전개
4장│굴절과 재생산: 작품 또는 그 번역을 통한 외국 작가·작품의 수용
1 내외 사신들의 서적 수용
2 편식과 쏠림 현상: 소동파의 수용과 송시풍
3 모의와 재생산: 명나라 이동양의 악부시
4 변형과 재창조: 명 단편소설 「등대윤귀단가사」(藤大尹鬼斷家私)의 수용
5장│교류의 양방향과 수수 관계: 우리가 외국에 준 문학·문화 자원들
1 '수용하기'와 '수용되기'
2 해외에 남아 있는 고전문학 유산
3 상대국 자원으로서의 인적·문화적 유산들
4 우리 문화의 전파와 사행록에 나타나는 문제들
6장│반성과 전망: '수용'의 동아시아적 의의
1 해외체험과 '문승'(文勝)에의 의지
2 문학의 수용에 나타난 문승의 위기
3 동아시아의 평화와 문승의 재인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