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새로운 지식, 환경과 맞닥뜨려도‘문제 인식’을 잘하면 스스로 헤쳐 나갈 수 있다!몇 년 동안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학생이 기술 응용력은 좋지만 기초적인 문제 인식 능력은 뒤처진다는 느낌을 받았다. 시험을 위한 지식에 얽매인 탓인지 학생들은 오히려 간단한 질문을 어려워했다. 주입식 교육의 한계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감하면서도 그 대안은 명확하게 제시된 바가 없다. 학교 교육에서 탐구 활동이 강조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은 인프라 구축 단계일 뿐이다.이 책은 한국 학생과 그 시절을 지나온 어른들이 지금이라도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거나 처음 만나는 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제 인식’을 잘하는 방법을 다뤘다. 스스로 문제 인식을 하고 충실하게 탐구한다면 교사나 어른이 알려주는 지식 너머의 새로운 지혜를 얻게 될 것이다.엉뚱하거나 심지어 기괴해 보이는 생각도 좋다. 주변 어른의 이러한 태도가 학생의 성장, 나아가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는 모든 사람을 돕는 최고의 방법이 될 것이다.평소에 불편한 느낌이 들던 사회 문제를 인지하고 통찰하는 가장 쉬운 방법얼핏 가벼워 보이지만 읽는 동안 집중이 요구되는 이 책은, 연결성을 가지고 진행되는 생각의 흐름을 따라가야 한다. 본문은 세 분야에 대한 문제 인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중력에 대한 문제 인식, 2장은 인간 심리에 대한 문제 인식, 3장은 언론에 대한 문제 인식 과정이다. 문제 인식의 유도 과정은 중학교 1학년 수준에 맞추고자 노력했다. 그래서 학교를 일찌감치 졸업한 어른들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다.넓은 의미에서 어른도 학생이다. 특히 3장은 뉴스에 민감한 어른에게 더 필요한 내용이다. 똑같은 내용을 다르게 말하는 언론의 속내를 들여다보려면 예리한 문제 인식과 통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책 말미에 부록으로 수록된 문제 인식 예시 과제를 통해, 문제 인식 방법을 실생활까지 확장 적용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