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제목 ‘휴랭 머랭’은 세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첫째, 인간 언어인 휴먼 랭귀지(Human Language)와 인공지능 언어인 머신 랭귀지(Machine Language)를 합한 일종의 신조어다. 둘째, ‘인간언어(휴랭)는 도대체 뭐래(머랭)?’라는 질문의 언어유희다. 세 번째가 재밌다. 달콤한 머랭 쿠키를 연상시키며, 달걀흰자를 마구 섞어놓으면 달콤한 쿠키로 탈바꿈하는 것처럼 같은 단어도 새롭게 섞어놓으면 유쾌한 신조어로 재창조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언어와 쿠키의 뜻밖의 조우다. 인간은 의사소통을 위해서만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언어 파괴를 넘어 언어 창조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언어란, 정체성의 또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머랭’ 하나에 의도적으로 세 가지 의미를 담는 것, 그래서 일부러 혼동을 유발하는 것, 즉 소통에 있어 질서와 정확성만을 추구하지 않는 것, 이런 면이 바로 인간 언어를 기계 언어와 구별 짓는 특징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따라서, ‘휴랭 머랭’은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답을 찾아보고자 하는 우리시대 언어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이기도 하다. 스탠퍼드대 언어학박사 최혜원 교수가 진단하는 현재진행형의 언어유희언어학자는 언어를 소리와 구조와 의미로 쪼개서 분석하는 사람이다. 세상 돌아가는 속도만큼이나 빨라지는 언어의 변화를 예민하게 관찰하고, 그 안에 숨겨진 질서와 의미를 찾아내는 사람이다. 거의 날마다 새로운 표현을 접하는 일이 낯설어서 재밌다고 말하는 그에게 세상은 커다란 실험실일지도 모른다. 자고나면 탄생하는 신조어와 줄임말, 무분별한 외래어의 혼용과 차용, 뒤죽박죽 높임말, 심지어 외계어와 인공지능 언어의 등장까지. 겉으로 드러난 어지러운 모습 뒤에 존재하는 언어의 본질을 찾아내고 이유를 부과하는 언어학자 본연의 역할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휴랭 머랭〉을 읽으며 이 시대의 화자인 우리는 알고도 쓰고 모르고도 사용하던 언어의 민낯을 마주하게 된다. 언어유희가 주는 즐거움이 그 어떤 지적유희보다 크다는 사실도 발견하게 된다. 우리 모두는 유희를 즐기는 인간, 호모 루덴스이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왜요, 그 말이 어때서요?, 나도 모르게 쓰는 차별의 언어2019 / 지음: 김청연 ; 그림: 코피루왁 / 동녘
말의 자연사 : 언어의 기원 2022 / 지음: 장-루이 데살 ; 옮김: 박정준 , 이현주 / 교유서가 :
언어의 우주에서 유쾌하게 항해하는 법: 어느 ‘어도락가’의 삶과 공부2020 / 지음: 신견식 / 사이드웨이
미학적 삶을 위한 언어감수성 수업 2023 / 지음: 신동일 / 필로소픽
문자와 언어학 : 문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 2023 / 지음: 연규동 / 따비
감정 문해력 수업 : 인지언어학자가 들려주는 맥락, 상황, 뉘앙스를 읽는 법 2023 / 지음: 유승민 / Whale Books(웨일북)
거시기 머시기 2022 / 지음: 이어령 / 김영사
휴랭 머랭 : 우리시대 언어 이야기2022 / 지음: 최혜원 / 의미와재미
언어의 뇌과학: 이중언어자의 뇌로 보는 언어의 비밀2020 / 지음: 알베르트 코스타; 옮김: 김유경 / 현대지성
언어의 역사: 말과 글에 관한 궁금증을 풀다2020 / 지음: 데이비드 크리스털, 옮김: 서순승 / 소소의책
진화하는 언어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언어는 어떻게 창조되고 진화했는가 2023 / 지음: 모텐 H. 크리스티안센 , 닉 채터 ; 옮김: 이혜경 / Whale Books :
외국어 전파담 : 외국어는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에게 어떻게 전해졌는가2018 / 지음: 로버트 파우저 / 혜화1117
듣기의 윤리2020 / 지음: 김애령 / 봄날의박씨
사람은 어떻게 말을 하게 되었을까 : 언어의 흔적을 찾아 자연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여행2014 / 지음: 루트 베르거, 옮김: 김희상 / 알마
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 이 시대 최고 지성 촘스키의 인간에 대한 네 가지 질문2017 / 지음: 노엄 촘스키 ; 옮김: 구미화 / 와이즈베리
경제학자의 생각법 :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돈 버는 생각 습관2015 / 하노 벡 지음 ; 배명자 옮김 / Alfred(알프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