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매혹시킨 영화들의 몰랐던 뒷모습을 쫓다 유쾌한 입담으로 영화광들을 사로잡은 영화평론가 주성철의 “아는 영화 모르는 이야기”이 책은 〈씨네21〉, 〈방구석1열〉, 〈무비건조〉 등 수많은 영화 콘텐츠를 통해 유쾌한 입담을 자랑해온 ‘영화광’ 주성철 평론가가 들려주는 ‘아는 영화들의 몰랐던 이야기’이다. 20여 년간 말과 글을 통해 치열하게 영화에 대해 이야기해온 그가 그동안의 애정의 흔적들을 모아 엮은 ‘첫 번째 영화평론집’이기도 하다.주제 혹은 소재에 따라 영화를 한 편씩 나열해 설명하던 기존 영화 평론집들과 다르게, 전시를 관람하듯 영화적 사유를 확장하는 구성이 인상 깊다. 감독이 천착하는 주제와 그로부터 뻗어나가는 세계관을 추적해가는 〈감독관〉, 영화 속에서 탄생해 피어나고 무르익는 배우들의 연기 세계를 쫓는 〈배우관〉, 장르의 렌즈를 통해 영화가 던지는 질문을 함께 사유해보는 〈장르관〉, “모든 감독은 단편으로 시작했다”는 말처럼 단편을 통해 거장들의 영광스러운 시작을 발견하는 〈단편관〉까지. 영화의 안과 밖을 넘나드는 다채로운 ‘영화의 뒷이야기’가 박진감 넘치게 이어진다. 지루하거나 어렵다는 이유로 영화 평론집을 멀리했던 독자라도, 주성철의 ‘영화 수다’ 앞에서는 흥미진진하게 눈을 밝힐 것이다. 더불어 〈기생충〉, 〈미나리〉, 〈헤어질 결심〉 등 한국 영화의 대변혁기를 선도하고 있는 최신 작품들도 함께 논하기 때문에, 이를 함께 목격하고 이야기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것이다. 영화 기자, 에디터, 평론가의 정체성을 오가며 영화 곁에 늘 함께해온 저자는 “아마도 영화만큼 강렬한 예술은 없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영화가 끝나고 불이 켜지면, 함께 나누고 싶어 미칠 것 같던 말들. 주성철 평론가의 수줍고 달뜬 이야기들이 이 책에 모두 담겨 있다.
그때 그 영화처럼: 이동기 영화 에세이2020 / 이동기 지음 / 아모르문디
영화가 뭐라고: 언젠가 한 획을 그을 한국영화 스태프 32명과의 대화2021 / 주화 / 퇴근후작당모의
필름 속을 걷다 : 이동진의 영화풍경2015 / 이동진 글·사진 / 위즈덤하우스
깊은 밤의 영화관 :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는 시간 2024 / 지음: 이은선 / 클로브
(10대와 통하는)영화 이야기: 상상이 현실이 되는 교과서 밖 영화 세상2023 / 글: 이지현 / 철수와영희
영화 속 인문학 여행2015 / 정미숙 지음 / 경성대학교출판부
엄마와 함께 고전영화 읽기 : 내 아이 감성 영재로 키우는 영화 이야기2018 / 조수진 지음 / 협성문화재단
그 영화의 뒷모습이 좋다2022 / 지음: 주성철 / 씨네21북스:
제인 오스틴 무비 클럽: <오면과 편견>에서 <레이디 수잔>까지 영화로 읽는 제인 오스틴2021 / 지음: 최은 / 북인더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