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1583년의 율곡 이이
1. 산림에서 다시 조정으로, 1581-2년의 율곡
2. 계미년 기록 문헌
3. 율곡에 몰아치는 탄핵
4. 1583년 조정의 풍우(風雨)
5. 율곶 강마을의 밤 - 도학자와 유지(柳枝)
6. 비방 무고에 대한 율곡의 대응
7. 심통원 심의겸과 율곡의 관계
8. 율곡의 사후에 일어난 비방과 엽등(獵等) 논란
2장. 성리학적 진리의 담지(擔持)
1. 성리학적 진리 사회의 담지(擔持)
2. 필부성인(匹夫聖人)과 사대부 도통론(道統論)
3. ‘속임 없기[毋欺]’의 철학 - 실리(實理)와 실심(實心)
4. ‘고궁(固窮)’의 진유(眞儒)
3장. 주돈이 본원(本源)론의 이해와 추존
1. 성리학의 비조(鼻祖) 찾아가기
2. 본원(本源)적 사고, 『태극도설(太極圖說)』
3. 영명(靈明)한 존재의 주재성과 기질 변화
4. 학성(學聖)의 선배 뒤꿈치를 좇아
4장. 소옹 선천역학의 이해와 수용
1. 소옹 - 하늘의 시민
2. 「획전유역부(畫前有易賦)」의 역학
3. 광활(曠闊)한 마음과 사통팔달의 철학
4. 허명(虛明)한 마음, 풍월(風月)의 정회(情懷)
5장. 주재자(主宰者)와 화복(禍福)
1. 주재(主宰) - 조화(造化)
2. 화복(禍福)과 소행(素行)
3. 몸의 주재 - 마음
4. 조화에의 간섭과 교화(敎化)
6장. 실리(實理)·실심(實心)의 자연관
1. 당대 사회적 현안 대책
2. 실리(實理) 자연관
3. 실심(實心) 자연관
4. 실리와 실심의 화해(和諧)
7장. 행도(行道)와 수교(垂敎)
1. 도학(道學)과 진유(眞儒)
2. 문묵 입신(文墨立身)의 행도(行道)
3. 포황(包荒) 빙하(馮河)의 자세
4. 물러서기와 수교(垂敎)
8장. 율곡과 우계 -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사귐
1. 조선 유자의 입신(立身) 트랙
2. 율곡과 우계의 화이부동(和而不同)
3. 덕업(德業) - 그 동귀(同歸)와 수도(殊途)
가. 거업(擧業)과 행도(行道)
나. 사승과 사상적 편력
다. 시의(時宜)와 시비(是非)
라. 자득과 의양, 분석의 칼날과 온화한 절충
마. 『격몽요결(擊蒙要訣)』과 『주문지결(朱門旨訣)』
4. 친구의 눈에 비친 철학자의 모습
9장. 율곡에 대한 송시열의 존숭과 지수(持守)
1. 율곡·우암의 관계
2. 우암의 퇴계에 대한 존숭과 극복
3. 기발이승(氣發理乘)의 세계관과 사서(四書) 연구
4. 율곡연보 및 문집 보정(補正)
5. 율곡을 계·술하기와 넘어서기
10장. 율곡학과 화서학파
1. 율곡학의 19세기적 복류(伏流)와 용출(湧出)
2. 화서학파의 율곡학 지수(持守)
3. 화이(華夷)론에서 정사(正邪)론으로
4. 주리(主理)적 이기론
5. 같은 뿌리 다른 꽃 - 동근(同根) 이화(異花)
11장. 율곡 성리설과 전우
1. 학문(學問)의 퇴계·이기(理氣)의 율곡
2. 사·칠 발출의 퇴계만년정설과 율곡설의 부합
3. 합리기(合理氣)의 마음과 기(氣)로서의 마음
4. 존성학(尊性學)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