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치매 용어 정의 및 치매정책 개요
제1절 치매 정의
제2절 치매관리법 및 국가치매책임제 주요 내용
제3절 치매정책 개요
제3장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현황
제1절 국가통계 및 치매 통계의 근거법
제2절 치매유병률 산출 현황 및 진단
제3절 치매 통계 생산체계 현황 및 진단
제4절 치매 통계 현황과 진단
제4장 국외 치매 통계 생산 방식 및 국내 암등록통계 관리 방식 검토
제1절 국제 기구의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식 검토
제2절 국가별 치매유병률 산출 방식 검토
제3절 국내 암등록통계 관리 방식 검토
제5장 치매유병률 산출방식 개편방안
제1절 치매유병률 통계 산출 목표
제2절 행정자료를 통한 치매유병률 산출 가능성 검토
제3절 치매역학조사를 통한 치매유병률 산출 방안
제4절 치매역학조사와 타 조사와의 연계 실시 가능성 검토
제5절 시설 및 병원 장기입원 치매환자 조사 가능성 검토
제6절 소결
제6장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방안
제1절 치매 통계 생산 및 관리 로드맵
제2절 치매 등록관리 시스템 도입 및 치매 통계 생산 체계 정비
제3절 치매 통계 지표 구성
참고문헌
부록 1. 치매 통계 지표(대한민국 치매현황 2017)에 전문가 개선의견
부록 2. 시도별 만 60세 이상 인구의 모집단 분포 비교
부록 3. 2016년 역학조사 시도별 응답자 및 상대표준오차 현황
부록 4. 시군구별 신경과 및 정신과 CT 및 MRI 분포
부록 4-1. 신경과
부록 4-2. 정신과
부록 5. 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