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대한 《증권분석》의 핵심만 정리하여 원전의 이해를 돕고, 현대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투자 전략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 정보나 회계방법 등은 현대의 상황에 맞게 저자들이 별도의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목차
요약판 저자의 글 옮긴이의 글
part 1. 조사와 분석기법 Chapter 01 | 증권분석의 범위와 한계 : 내재가치 개념 Chapter 02 | 분석의 기본 요소 : 계량적·정성적 요인 Chapter 03 | 정보의 출처 Chapter 04 | 투자와 투기의 차이 Chapter 05 | 증권 분류
part 2. 고정가치증권 투자 Chapter 06 | 고정가치증권의 선택 Chapter 07 | 고정가치증권의 선택 : 두 번째, 세 번째 원칙 Chapter 08 |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1 Chapter 09 |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2 Chapter 10 |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3 Chapter 11 | 채권투자의 구체적 기준 : 결론 Chapter 12 | 철도·공공 유틸리티 회사채 분석의 특수 요소 Chapter 13 | 채권분석의 기타 특수 요소 Chapter 14 | 우선주 이론 Chapter 15 | 우선주 선정 기법 Chapter 16 | 수익사채와 보증증권 Chapter 17 | 보증증권 2 Chapter 18 | 선순위 증권 보유자 보호 조항과 구제안 Chapter 19 | 보호 조항 2 Chapter 20 | 우선주 보호 조항 : 후순위 자본 유지 Chapter 21 | 보유 종목 관리
part 3. 투기적 선순위 증권 Chapter 22 | 특권부 증권 Chapter 23 | 특권부 선순위 증권의 기술적 특징 Chapter 24 | 전환증권의 기술적 측면 Chapter 25 | 워런트부 선순위 증권 : 이익참가부 증권 전환과 헤징 Chapter 26 | 안정성이 불분명한 선순위 증권
part 4. 보통주 투자 이론 : 배당 요소 Chapter 27 | 보통주 투자 이론 Chapter 28 | 새로운 보통주 투자 규범 Chapter 29 | 보통주 분석에서 배당 요소 Chapter 30 | 주식배당
part 5. 손익 항목 분석 : 보통주 가치평가에서 이익 요소 Chapter 31 | 손익 항복 분석 Chapter 32 | 손익계산서의 특별 손실과 기타 특별 항목 Chapter 33 | 본질을 호도하는 손익계산서의 장치 : 자회사 이익 Chapter 34 | 감가상각비 및 유사비용과 이익 창출능력의 관계 Chapter 35 | 공공 유틸리티 부문의 감가상각 정책 Chapter 36 | 투자자 관점에서 본 감가상각비 Chapter 37 | 과거 실적 기록의 중요성 Chapter 38 | 과거 실적을 의심하고 거부해야 하는 구체적 이유 Chapter 39 | 보통주 주가수익비율 : 자본구조 변화를 반영한 조정 Chapter 40 | 자본구조 Chapter 41 | 저가 보통주 : 수익원 분석
part 6. 재무상태표 분석 : 자산가치의 의의 Chapter 42 | 재무상태표 분석 : 장부가치의 중요성 Chapter 43 | 유동자산가치의 중요성 Chapter 44 | 청산가치의 의의 : 주주-경영진 관계 Chapter 45 | 재무상태표 분석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