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는 5년에 걸쳐 현지 조사와 인터뷰 등 질적 연구 방법을 써 런던, 칭다오, 서울에 사는 조선족과 북한 출신 이민자들을 연구했다. 두터운 인터뷰에 담긴 솔직한 이야기 속에서 조선족들이 이동하는 이유, 과정, 결과, 전망을 이해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 ‘지리’하지 않은 공감의 지리학
1장 / 떠남 ― 세 도시 이야기
“나라를 잘못 만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조선족, 중국 조선족
런던, 칭다오, 서울
눈 굴리기, 눈 돌리기
2장 / 삶을 떠나다 ― 살 만한 곳 찾아 어쩌다 보니
“왜 엄마는 아직 여기 있어?” ― 내모는 힘과 당기는 힘
왜 굳이 런던, 칭다오, 서울
“이제 살았구나” ― 런던 뉴몰든에서 보낸 첫날
“영국 가면 호미로 금을 긁는다” ― 리경옥 씨 이야기
은인, 얌체, 사기꾼
3장 / 건너온 사람들― 합법과 불법 사이에 머물다
합법, 불법, 초법
“목숨 걸고 왔다” ― 스무 나라 찍고 영국으로 데려오는 브로커의 힘
신분 없는 사람들 ― 불법과 합법 사이 그 조그만 비자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 ― 법과 문화를 뛰어넘는 삶의 지혜
“큰일나는 것도 없어요” ― 북한 난민 신청의 유혹
“내가 불법이니까 나한테 말해요” ― 없는 듯 꽤 있는 서울의 불법 체류자
“이게 다 브로커 때문이다” ― 더 많은 돈을 쓰는 불법 체류자들
4장 / 모여 살기 ― 떠나온 이들의 방, 집, 동네
뉴몰든 함지박 식당 ― 지혜와 요령 사이 조선족의 런던살이
알고도 모르는 척 ― 조선족과 집 맡기의 경제학
같은 집 사는 사람, 같은 말 하는 친구
대림동 ― 서울 하늘 아래 조선족 동네
“요즘 이 동네 다 춘장 냄새예요” ― 장밋빛 인생에 끼어든 차이나 블루
5장 / 여기에도 있고 저기에도 있는 ― 적응, 동화, 비교, 분석
스카이프, 카카오톡, 페이스북 ― 다중 정체성과 미래의 다문화 사회
“한국 사람들도 힘들었을 거예요” ― 착취와 공생 사이에서
“우리는 조선족이라서 한 민족이니까” ― 칭다오로 간 조선족 구일 씨
“뿌 하우 이스” ― 칭다오로 간 한국인 사장들
여기가 한국도 아니고 우리 땅인데
“한족은 한국말 한국 사람은 중국말” ― 칭다오에서 사라지는 조선족 중간 관리자
도왔는데 오히려 설 자리가 없어졌다
6장 / 브리티시 차이니즈 코리언 ― 나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고 묻는 조선족 아이들
월드컵과 조선족 ― 어느 나라를 응원하는지 묻는 다문화 사회
“둘 다 내 나라예요” ― 낳아준 어머니 한국, 길러준 어머니 중국
브리티시 차이니즈 코리언 ― 도대체 나는 어느 나라 사람일까
“조선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살았어요” ― 나라 없는 사람들이 모인 런던 조선족협회
“삶의 운명을 개변하는 거지!” ― 조선족 여성이 얘기하는 조선족
7장 / 사람이 제도다 ― 조선족들하고 가까이 지내는 한국 사람들
당연한 다문화 혜택 대 다문화 쇼핑
조선족을 대표할 구 의원? ― 국적 취득한 조선족과 정치인이 하는 속계산
법은 멀고 사람은 가깝고 ― 조선족 돌보는 한국인 최성길 씨
우리 경찰 형님 ― 대림동 동포들하고 축구 하는 한범식 씨
8장 / 조선족의 조선족 ― 차별받는 다른 쪽 조선인, 탈북자
3등 국민 ― 조선족보다 차별받는 탈북자들
진짜 탈북자와 가짜 탈북자 ―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의 거리감 또는 존재감
난민들의 나라 영국의 끼리끼리 네트워크
9장 / 먼 거리 가족 ― 삶 속에 들어온 경쟁의 지리학
떨어져 사는 우리, 아직 가족일까
“잘 받았어. 고생했어” ― 가족의 곳간이 되다
우리는 아직 가족인가 ― 시간이 지나면서 나도 변하고 가족도 변한다
“떨어져 살 때보다 걱정이 두 배” ― 다시 합쳐도 걱정
가족의 재탄생 또는 시대병
10장 / “십자가를 찾아가라” ― 떠나온 이가 잡은 ‘하나님’
뿌리 없는 이민자, 뿌리 깊은 종교
“한국 사람도 북한 사람도 아니었다” ― 뉴몰든 조선족 교회 박동욱 씨
‘조선족교회’에서 ‘한민족교회’로, 그러나 계속 있는 금
“교회 밥은 공짜 밥이었어요” ― 기독교 안에서 위안받는 리경옥 씨 이야기
김일성과 김정일 대신 ‘하나님’ ― 런던의 북한 교회
“이제는 익숙해져서 우리나라 같다” ― 쉼터와 교회, 서울 조선족의 안식처
11장 / 중국으로 돌아갈까? ― 돌아가려고 떠난 이들의 떠나오기
떠나기와 돌아가기
금의환향 ― 미루어진 마감과 실패한 꿈 사이에서
“가도 문제예요” ― 영국살이에 익숙해진 떠나온 이들
“여기는 자유가 있다” ― ‘왔다갔다’가 몸에 밴 서울 조선족
12장 / 남의 땅 나의 삶 ― 나그네는 한 나라에 머물지 않는다
역마살 ― 나그네 삶의 정체성
지정학적 나그네 ― 강하고 독하고 실용적인 조선족
“적응하는 수밖에 없다” ― 이동의 시대를 살아가는 중간자들
13장 / 떠남 ― 이동과 흐름과 불안의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