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중심적, 냉전중심적, 서구중심적, 남성중심적, 혹은 제국주의적 성격도 지녀왔던 기존의 지정학적 접근들을 극복하고, 한반도 지정학을 둘러싼 지리학적 논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며, 통일담론 및 통일연구에도 새로운 활력을 공급하는 책이다.
목차
들어가며. 변화하는 한반도와 새로운 지정학적 상상력의 필요성 / 지상현·이승욱·박배균
제1장 한반도 경계와 접경지역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 접근의 함의 / 지상현·이승욱·박배균 1. 들어가며 2. 접경지역, 경계, 변경 관련 연구 동향의 시사점 3. 접경지역 관련 통일정책에 드러난 영토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결론
제1부 분단과 경계의 신지정학 제2장 한반도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지정-지경학 / 박배균·백일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접경지역 재현의 공간적 차이와 시간적 변화 4. 접경지역 지원제도의 변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 5. 결론 제3장 냉전의 진열과 쇼핑: DMZ 전망대를 통해 바라본 한반도의 냉전경관 / 지상현·장한별 1. 서론 2. 냉정경관의 이해 3. DMZ와 전망대 4. DMZ 전망대의 경관 진열과 쇼핑 5. 결론 제4장 한반도의 도시지정학: 대북전단 살포와 접경·안보의 스케일 정치 / 이승욱 1. 들어가며: 한반도의 도시지정학? 2. 지정학의 새로운 지평, 도시지정학 3. 접경도시의 지리정치경제학 4. 한반도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파주시 대북전단 살포를 둘러싼 갈등 5. 결론 제5장 여성주의 지정학과 북한인권: 탈북여성의 인신매매에 대한 담론 비판 / 최은영 1. 서론 2. 여성주의 지정학, 이주, 그리고 인신매매 3. 인도주의, 인권, 그리고 인신매매에 대한 제국주의적 대응 4. 탈북여성이 겪은 인신매매의 경험 5. 탈북여성의 생존전략과 이동성 6. 결론
제2부 통일의 신지정학 제6장 남북한 협력과 통일을 위한 ‘한반도 자연’의 생산 / 황진태 1. 들어가며 2. 새로운 국가-자연의 생산에 대한 공간적 이해 3. 남북한 주도의 ‘한반도 자연’의 생산 4. 나오며 제7장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제3국에서 탈북민의 일상과 담론에 나타난 북한 재영토화 / 신혜란 1. 서론 2.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동화와 초국적주의 속 국가의 재영토화 3. 연구사례와 방법 4. 탈북민들의 한국으로의 동화 속 국가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5. 탈북민의 초국적주의 속 재영토화 6. 결론과 함의 제8장 공간적 프로젝트로서 통일: 개성공단을 통해 본 통일시대 영토성에 대한 관계적 이해 / 정현주 1. 통일담론에서 영토성 논의의 부재 2. 통일연구에서 관계적 공간론의 적용 3. 관계적 공간으로서 개성공단 4. 나가며: 관계적 공간에 입각한 통일론의 함의
나가며: 분단과 경계 뛰어넘기-한반도의 새로운 지정학 가능성 엿보기 / 이승욱·지상현·박배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