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건축, 도시, 조경 분야의 대표적인 이론가 6인이 뜻을 모아 함께 그려낸 20세기 후반의 건축, 도시, 조경의 지식 지형도이다. 1900년대 초반부터 이야기를 풀어간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1980년대 이후의 상황을 중심으로, 우리 삶의 터전이자 바탕을 구축하고 있는 건축, 도시, 조경 분야가 어떤 담론과 철학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천을 펼쳐나갔는지를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
목차
서문 / 정인하
Part1. 건축의 지식 지형
현실의 발견 - 근대화의 정착과 세계화로의 이행 / 정인하
한국 근대 건축에서의 현실과 지식 체계
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
현실을 바탕으로 한 건축과 지역성
현실적 건축의 주요 특징들
현실적 건축의 의미와 한계
파편과 체험의 언어 - 1980년대 이후 한국 건축담론 / 배형민
건축의 언어: 1980년대 전통과 파편
주체, 단편, 알레고리: 1990년대 건축 담론의 새로운 지평
알레고리와 실용주의의 미학: 민현식과 유결의 언어
체험과 은유의 후퇴
Part2. 도시의 지식 지형
한국의 도시현실과 도시지식 - 1980년대 후반 이후의 도시상황을 중심으로 / 조명래
서론
도시지식이란: 도시의 현실과 지식의 관계
1987년에서 1992년: 민주화와 토목적 도시지식
1993년에서 1997년: 개방화와 성찰적 도시지식
1998년에서 2002년: 신자유주의화와 시민적 도시지식
2003년에서 2007년: 신개발주의화와 권력적 도시지식
결론: 한국 도시지식과 도시담론의 유형화
이상적 도시환경 - 우리나라 신도시설계를 돌아보다 / 민범식
우리에게도 좋은 도시형태
건전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주거공간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일자리와 서비스의 중심지
자연과 공존하는 도시
도시환경의 지평
Part3. 조경의 지식 지형
근대의 굴레, 녹색의 이면 - 한국 조경의 근대성과 박정희의 조경관 / 배정한
한국 조경의 정체성과 근대성
한국 현대 조경과 박정희의 함수
박정희의 조경관과 그 이면
박정희식 조경의 유산
보론: 한국 현대 조경의 지식 지형
장소의 기억과 재현 - 한국 공원의 정치와 디자인을 횡단하다 / 조경진
시작하며
실천적 장소론의 모색
근대 도시 조경의 전개: 장소 기억의 소거
한국 공원 설계의 전개: 기억의 생성과 재현
마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