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로 독립운동가로 정치가로의 김성숙의 다양한 삶은 이상과 지조로 일관하였다. 김성숙은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서대문형무소에서 8개월의 옥고를 치른 후 1923년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제1부 김성숙의 생애와 독립운동 1920년대 중국지역에서 전개한 김성숙의 민족혁명과 사회주의운동 / 손염홍 1. 머리말 2.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북경 망명 3. 불교유학생회ㆍ고려유학생회 결성과 반역사 활동 4. 창일당의 결성과 『혁명』의 간행 5. 광주로의 이동과 의열단 활동 6. 광주봉기 참가 7. 맺음말 김성숙의 1930년대 중국 관내지역의 독립운동 / 김광재 1. 머리말 2. 조선민족해방동맹의 결성과 김성숙 3. 조선민족전선연맹과 김성숙 4. 맺음말 중경임정 시기 김성숙의 활동과 정치 사상 / 한상도 1. 머리말 2. 임정 합류와 활동 3. 한ㆍ중 연대활동 4. 독립운동 방략 및 정치 사상 5. 맺음말 김성숙의 생애와 독립운동 / 이동언 1. 머리말 2. 출생과 국내에서의 활동 3. 중국에서의 독립운동 4. 맺음말 김성숙연구의 성과와 과제 / 신운용 1. 머리말 2. 연구 성과 검토 3. 쟁점과 연구과제 4. 맺음말
제2부 김성숙의 이념과 사상 김성숙(金星淑) -민족해방과 통일 위해 바친 자의 묘비명(墓碑銘) / 김재명 승려로서 3ㆍ1운동 참여 북경에서 급진적 잡지 펴내 김원봉ㆍ보로딘과 교류 광동꼬뮨 참여 민족진영 급진파로서 임정 참여 임정에서 이승만 성토 약법 3장으로 임정 개편 꾀해 귀국 뒤 비상정치회의 참여 극좌ㆍ극우 편향 극복 꾀해 임정과 결별하다 김원봉ㆍ장건상과 함께 민전으로 몽양을 따라 근로인민당 결성 광릉회합 이후 혁신운동 참여 가난ㆍ病苦 속에 말년 보내 진보적 민족주의자로서의 고난 김성숙의 정치이념과 민족불교 / 김광식 1. 서언 2. 김성숙의 8ㆍ15 해방 이후 정치노선 3. 정치이념과 민족불교와의 상관성 4. 결어 이념 사상가로서 김성숙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 신규탁 1. 머리말 2. 운암의 항일구국운동 3. 근대의 좌표: 중국 땅과 한국 땅 4. 맺음말 김성숙의 불교사상과 그 變容 / 차차석 1. 서론 2. 출가와 불교수학 3. 김성숙의 정치 사상에 투영된 불교 사상 4. 맺는말
운암 김성숙 연보(1898~1969) 찾아보기
70년 만의 귀향: 홋카이이도 강제 노동 희생자 유골 귀환의 기록2021 / 지음:도노히라 요시히코 ;옮김:지상 / 후마니타스
조선총독부 공문서2007 / 박성진 ; 이승일 [공]지음 / 역사비평사
35년. 1 : 1910-1915 무단통치와 함께 시작된 저항2018 / 지음: 박시백 / 비아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