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바라보는 일본인 학자의 열정 어린 통찰력이 돋보이는 책. 이 책의 저자는 ‘한글’이 ‘문화의 혁명’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언어란 무엇인고 문자란 무엇인가?’라는 보편적인 질문을 통해 한글에 대해서 통찰한다. 일본인 한국어학자인 노마 히데키는 언어와 문자의 보편에 이르는 통찰력 있는 시각을 제시한다.
한국어판 출간을 맞이하여 책머리에
서장 한글 소묘 01 한글의 구조 02 『훈민정음』이라는 책
제1장 한글과 언어 01 한글이라는 이름 02 한국어의 세계 03 말과 문자 04 한국어는 어떠한 언어인가
제2장〈정음〉탄생의 자기장 01 문자를〈만든다〉-한자의 자기장에서 02 자기 증식 장치로서의 한자 03 〈한문훈독〉시스템 04 한국어의〈한문훈독〉-〈구결〉의 구조 05 〈질량을 가진 텍스트〉 06 서방에서 온 길-〈알파벳로드=자음문잣길〉의 종언
제3장 정음의 원리 01 문자를〈만든다〉-공기의 떨림에서 음을 잘라 낸다 02 〈음〉에서〈게슈탈트〉로 03 단음=음절문자 시스템의 창출 04 사분법 시스템의 충격 05 음의 변용을〈형태화〉하다-형태음운론으로의 접근
제4장〈정음〉에크리튀르 혁명-한글의 탄생 01 〈정음〉혁명파와 한자한문 원리주의의 투쟁 02 〈용음합자用音合字〉사상-〈지〉의 원자를 묻는다 03 〈정음〉이여, 살아있는 것들의 소리를 들으라 04 〈정음〉이여〈나ㆍ랏:말□〉을-에크리튀르 혁명 선언
제5장〈정음〉에크리튀르의 창출 01 〈정음〉이여 음을 다스리라-『동국정운』 02 〈정음〉이여 삼천 세계를 비추라-유불도의 길 03 〈정음〉이여 천지 우주를 배우라-『천자문』 04 〈정음〉이여 우리의 가락을-『두시언해』와 시조 05 〈정음〉이여 이야기하라, 읊으라, 그리고 노래하라-〈정음〉문예와 판소리 06 고유어의 혈맥과 한자한문 혈맥의 이중나선 구조 07 〈정음〉반혁명을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