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필요로 목말랐던 교수자에게 다양한 학습법을 제안하며, 의사소통교육의 근간이 되는 ‘사고와 표현’ 교육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
머리말
1장 영화로 생각하기 1. 일상의 차이 사유하기 [패터슨] / 황영미 2. 다문화 시민성 기르기 [반두비] / 박현희 3. 나이 듦과 나이 덞의 사유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 / 김성숙 4. 진정한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죽은 시인의 사회] / 황성근
2장 영화로 말하기 5. 다양한 의사소통과 진정한 만남의 접촉점 찾기 [컨택트] / 이재현 6. 딜레마 토론 [다크 나이트] / 김경애 7. 경쟁과 협력의 줄타기, 그것이 협상 [네고시에이터] / 신희선 8. 융합적 대화와 소통 [말하는 건축가] / 남진숙
3장 영화로 글쓰기 9.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랑과 젠더, 글쓰기 [그녀 Her] / 이경희 10. 관음과 욕망의 글쓰기 [인더하우스] / 강옥희 11. 공동체의 폭력에 대한 사유와 글쓰기 [더 헌트] / 나은미 12. 글쓰기, 혹은 상처 드러내기 [프리덤 라이터스] / 김중철 13. 영화로 글 쓰는 세 가지 방법 [다우트] / 유영희 14. 과학과 사회, 윤리의 행복한 조우, 과학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가타카], [필라델피아], [아웃 브레이크], [인셉션] / 송인화 15.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 [수상한 그녀] / 정윤자·김명희
결국 글은 쓰는 것이 아니라 다듬는 것입니다2019 / 지음: 야마구치 다쿠로, 옮김: 조윤희 /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