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제 가이드북을 던져버리고 내가 직접 선정한 나만의 그랜드피스투어를 떠나자. 각 나라의 국익과 세계 평화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게 된 저자는 인류의 평화를 찾는 '그랜드피스투어'를 가기로 하고 독일, 폴란드, 발트 3국, 러시아를 44일간 여행하며 보고 얘기하고 생각한 것들을 책으로 모았다.
목차
프롤로그
독일 자만과 절망, 그리고 희망의 변주곡
01 브란덴부르크문에서 독일의 영광과 오욕의 역사를 보다
독일 역사를 기억하는 통로
나폴레옹 전쟁과 프로이센의 승리
1·2차 세계대전과 브란덴부르크문
동서 분단의 상징
동백림 사건과 송두율 사건: 분단과 경계의 문 앞에서
‘경계에 서지 않은 그날’을 맞이한 브란덴부르크문
02 분열에서 통합으로, 독일이 만든 평화의 길
독일은 어떻게 통일을 이루었는가?
독일 통일의 내부조건(1): 서독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과 정책적 일관성
독일 통일의 내부조건(2): 동독 민중 내부의 항거와 자유에 대한 열망
독일 통일의 외부조건: 냉전의 종식과 러시아의 개혁·개방
독일 통일 과정과 한반도의 현재
03 독일 역사에서 찾은 위대한 리더의 조건
계몽군주 프리드리히 대왕
상수시 궁전에서 만난 프리드리히 대왕
《반마키아벨리론》
독일 통일의 영웅, 비스마르크
근거 없는 낙관주의와 철없는 이상주의의 경계
프란최지셔 돔에서 만난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
관용정신과 부강한 국가
04 독일에서 만난 동아시아의 미래
왜 동아시아는 다른가?
고통스러운 기억을 공개하려는 독일인들의 노력
갈등하는 지역서사가 만드는 풍요로운 복합
절대악과 절대선의 구별 없는 대연정
독일에서 본 동아시아의 미래와 한반도의 희망
폴란드와 발트 3국 약소국의 비애와 평화의 노래
01 크라쿠프 중앙광장에서 폴란드 독립투쟁의 역사를 보다
폴란드에 대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세 강대국에 의한 강제분할의 비극
같은 민족끼리 총을 겨눈 비극의 서사
제2차 세계대전과 망명정부의 운명
폴란드의 윤동주, 아담 미츠키에비치
폴란드 민족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의 국적 논쟁
02 다시 만난 빌리 브란트, 화해와 용서가 만드는 평화
발트 3국에서 폴란드로: 경계란 무엇인가
바르샤바 게토영웅기념비와 빌리 브란트
과거의 ‘걸림돌’은 미래의 ‘디딤돌’이다
기록되는 역사만이 기억되고, 기억하지 않는 한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아우슈비츠에서 악의 근원을 묻다
전쟁과 인종대학살의 반복적 비극을 넘어
03 폴란드 역사에서 찾은 위대한 리더의 조건
야기엘론스키 대학에서 만난 카지미에시 대왕
관용과 개방의 정치
폴란드 최전성기를 만든 힘, 다양성의 인정과 관용
폴란드 브로츠와프에서의 특별한 만남
폴란드와 한국의 미래
04 폴란드와 발트 3국이 부르는 평화의 노래
발트 3국의 슬픈 운명
발트의 길을 따라 에스토니아에서 라트비아로, 그리고 리투아니아로
자유와 독립을 향한 노래혁명
비폭력 시위의 힘, 세계를 바꾸다
동유럽 해빙을 만든 주변 정세
리투아니아 광장: 평화의 노래는 한반도까지 울려 퍼질 수 있을까?
러시아 피와 눈과 변혁의 나라
01 붉은 광장에서 러시아 혁명의 역사를 보다
혁명의 불꽃, 레닌을 만나다
러시아 혁명의 배경
억압받고 착취당하던 사람들의 축제, 러시아 혁명
레닌에게 전쟁과 평화를 묻다
평화의 조건은 무엇인가
배제와 억압의 순환고리를 넘어
02 러시아에서 만난 칸트, 그가 꿈꾸던 평화
러시아에서 칸트를 만나다
칸트의 《영구평화론》
칸트가 말하는 국가 간의 권리와 의무
영구적인 평화를 위한 국가 간 예비조항
영구적인 평화를 위한 국가 간 확정조항
칸트에게 ‘영원한 평화’와 그 현실적 한계를 묻다
03 러시아 역사에서 찾은 위대한 리더의 조건
알렉산드르 넵스키를 만나다
알렉산드르 넵스키의 일생과 러시아의 정체성
러시아 민족은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가
러시아는 어떻게 정교 국가가 되었나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서 표트르 대제를 만나다
강대국을 향한 표트르 대제의 의지
04 러시아에서 만난 아시아의 평화와 미래
변방의 ‘창’에서 유라시아 통합의 ‘문’으로
가까운 러시아, 낯선 러시아
유라시아 안에 한반도를 담다
유라시아적 시각은 왜 필요한가?
에필로그
여행 전후 읽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