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표현 및 대항표현의 정의와 기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둘의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낸 책이다. 혐오표현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면서도, 표현의 자유가 갖는 중요성을 놓치지 않고 대항표현의 가능성과 당위를 성실하게 모색한다.
머리말
1 존엄한 삶에 대한 확신의 파괴 _혐오표현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행위 소수자를 겨냥한 낙인 ‘그냥 말’은 없다 언어로 하는 구타 : 모욕 “난쟁이가 욕심도 많다” 온라인이라는 숙주 증오의 촉진 : 선동 “이주여성이 와서 서민들의 일자리를 뺏는다” 교묘히 은폐된 편견들 열등한 신분의 창조 : 종속 “호남 출신 사람들은 뽑지 말라” 표현의 권력은 평등하지 않다 성적 대상화의 문제 묵살과 왜곡의 이중주 : 무시 “그냥 밥하는 아줌마들” 언어가 있어도 말할 수 없는 이유 그들이 원한 것이다? × 어떤 게 혐오표현일까?
2 모욕당하고 배제된 타자들의 이름 되찾기 _대항표현 차별과 폭력을 무효화하는 행위 말대꾸의 세 가지 도구 객관적 정황의 재현 : 사실성 거짓에 기초한 혐오표현의 논박 ‘예멘 합동결혼식’의 진실 관습의 교란 : 정당성 “오백만 년 전에 하던 소리” 을들의 반란 내면에의 호소 : 진정성 혐오의 신화 “부모한테 자식은 지겨울 수가 없어요” 전복, 탈환, 패러디 : 산발적 대항 “남자가 웃어야 집안이 평화롭다” www.하나님은 동성애자들을 사랑하신다.com “성 상품화가 왜 나빠요?” 혐오를 허용하는 사회 : 지속적 대항 개별적 저항의 한계 국가 차원의 말대꾸 “오늘 우리는 ‘혐오의 시대’와 결별을 선언한다” × 좀 더 교묘한 혐오표현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보론 그럼에도 혐오할 자유가 있다고 말한다면 _표현의 자유 진리 논증 표현은 우리를 진리로 이끈다 진리와 관련이 없는 표현들 중립주의의 허점 권리 논증 혐오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누구의 권리인가? 민주주의 논증 공론장의 선결 조건 전쟁터는 수호하지 않는다 미끄러운 경사면 논증 금지하는 것은 설득하는 것이 아니다 일베의 폭식투쟁을 경찰이 보호할 때 역량 논증 사람다운 삶을 위한 무기 “너 하나 병신 만드는 건 일도 아니다”
주
문명의 만남 : 세상의 절반, 이슬람을 알기 위해 떠나는 여행2019 / 지음: 칼라 파워, 옮김: 하윤숙 / 세종서적
세계의 이슬람 : 때로는 생소하고, 때로는 익숙한 전 세계 이슬람 국가의 모든 것2018 / 지음: 한국이슬람학회 / 청아출판사
무함마드 : 신의 예언자 2024 / 지음: 카렌 암스트롱 ; 옮김: 김승완 / 교양인
내 영혼이 내 인생을 계획했다면 : 예수 채널링 2024 / 지음: 지나 레이크 ; 옮김: 류한동 / 정신세계사
사회를 달리는 십대 : 경제 2021 / 지음: 황정숙 ...[등] / 우리학교
사회를 달리는 십대. [2], 국제외교 2022 / 지음: 오애리, 이지선 / 우리학교
무례한 시대를 품위 있게 건너는 법: 차별과 배제, 혐오의 시대를 살아내기 위하여2020 / 지음: 악셀 하케, 옮김: 장윤경 / 쌤앤파커스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모욕당한 자들의 반격을 위한 언어를 찾아서 2019 / 지음: 유민석 / 서해문집
투명사회2019 / 지음: 한병철 ; 옮김: 김태환 / 문학과지성사
권력은 현실을 어떻게 조작하는가: 마리아 레사의 진실을 위한 싸움2022 / 지음: 마리아 레사; 옮김: 김영선 / 북하우스 퍼블리셔스
우리를 속인 세기의 철학가들 : 이 시대 최고의 지성들은 어떻게 현학과 허세로 세계를 사로잡았는가2019 / 지음: 로저 스크루턴 ; 옮김: 박연수 / 도움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