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근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저자는 독자들이 글을 읽으며 쉽고 재미있게 식물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한국 소설에서 주요 소재 또는 상징으로 나온 꽃을 찾아 이야기를 풀어 가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번 책에서는 문학은 물론 영화, 미술 등으로 그 영역을 확장했다.
머리말 추천의 글
1. 꽃, 도시인의 오감을 깨우다 봄꽃 첫 연주자는 영춘화 영산홍, 천의 얼굴 천의 이름 가진 꽃 만발한 홍자색 박태기꽃, 박완서가 그립다 올여름도 100일간 붉게 피어날 배롱나무꽃 태양에 맞서듯 피어나는 주홍빛 털중나리 마타리꽃 냄새, 칡꽃 향기 가장 성공적으로 변신한 꽃, 벌개미취 노란 들국화의 달콤한 향기 추억의 까만 열매, 까마중 향긋한 ‘토종 허브’ 배초향
2. 꽃, 서울을 특별하게 만들어 주다 ‘서울로’에서 만난 뜻밖의 즐거움 서울 가로수도 개성시대 서울을 장식하는 5대 길거리꽃 조팝나무 흰구름꽃이 선사하는 상쾌한 향기 경복궁·덕수궁은 언제나 꽃대궐 올해도 과꽃이 피었습니다 연애 한 번 못해 보는 꽃, 수국과 불두화 조롱조롱 팥처럼 붉은 팥배나무 열매 ‘잡초’, 그 치열한 생명을 위한 변명 서울 일대를 점령한 욕심 사나운 풀, 서양등골나물
3. 꽃, 인간의 삶을 비추다 ‘굳고 정한 갈매나무’와 시인 백석 꽃을 사랑한 화가, 이중섭 오후 네 시면 피어나는 분홍빛 분꽃의 추억 시큼달큼한 우리네 인생을 떠올리게 하는 탱자 자세히 보아야 예쁜 꽃, 여뀌 가장 청초하지만 가장 음흉한 식물, 난초 먹는 꽃, 눈·코·입 다 즐겁더라 “이름 모를 꽃이 어디 있노” 이름이 서러운 우리 식물들 노루오줌, 사위질빵, 이런 이름은 누가 지었을까 개불알풀·며느리밑씻개·소경불알, 이름 바꿀 수는 없나 “사진꾼은 싫어요!” 꽃들의 절규 누군가에게는 가족 같은 실내 식물
4. 꽃, 도시 밖으로 발걸음을 재촉하다 야생화 ‘고수’들에게 한 수 배운다 “우리는 꽃을 짝사랑하는 거죠” 자귀나무 잎처럼 꼭 붙어 다니는 ‘꽃부부’ 초봄 멋쟁이들, 노루귀·얼레지·처녀치마 변산바람꽃 아씨가 오셨네 거문도 ‘미스 수선화’ 만나러 가는 길 식물계 독성毒性 챔피언, 투구꽃 겨우살이, 겨울산의 보석일까 얌체일까?
부록 식물과 더 가까워지려면
숲이라는 세계 2024 / 글: 최진우 ; 그림: 도아마 / Remind:
나무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1만 년 나이테에 켜켜이 새겨진 나무의 기쁨과 슬픔2021 / 지음: 발레리 트루에; 옮김: 조은영 / 부키
씨앗의 승리 : 씨앗은 어떻게 식물의 왕국을 정복하고 인류 역사를 바꿔왔는가?2016 / 소어 핸슨 지음 ; 하윤숙 옮김 / 에이도스
고목 원더랜드: 말라 죽은 나무와 그곳에 모여든 생물들의 다채로운 생태계2024 / 지음: 후카사와 유 ; 옮김: 정문주 / 플루토
침엽수의 자연사 2023 / 지음: 공우석 / 지오북
이천 년의 꽃 : 삼국시대의 107가지 식물 이야기2015 / 김규원 지음 / 한티재
나무의 시간: 내촌목공소 김민식의 나무 인문학2020 / 지음: 김민식 / b.read:
(서울)화양연화2019 / 글·사진: 김민철 / 목수책방
효창숲에 가면 그 나무가 있다2016 / 김지석, 함희숙, 김수정 [공]지음 / 나남
식물, 세계를 모험하다: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전략으로 지구를 누빈 식물의 놀라운 모험담2020 / 지은이: 스테파노 만쿠소; 옮긴이: 임희연 / 더숲
식물의 방식2022 / 지음: 베론다 L. 몽고메리; 옮김: 정서진 / 이상북스
식물의 방식2022 / 지음: 베론다 L. 몽고메리; 옮김: 정서진 / 이상북스
실은 나도 식물이 알고 싶었어: 정원과 화분을 가꾸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식물 이야기2020 / 지음: 안드레아스 바를라게; 옮김: 류동수 / 애플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