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문화코드와 브랜드디자인의 기본적인 이해
제1장 문화를 구성하는 문화코드의 역할
문화의 정의
소비자 문화
문화코드
제2장 문화코드와 브랜드디자인의 기본 구성요소
문화코드의 기본 구성요소
문화코드와 시각 문화코드 분류
브랜드디자인의 기능과 기본 구성요소
브랜드 유형과 브랜드디자인
제3장 브랜드디자인의 본원적 기능과 파생적 기능에 있어 문화코드의 역할
본원적 기능과 파생적 기능의 관계
본원적 기능 중심의 문화코드를 사용한 브랜드디자인
파생적 기능 중심의 문화코드를 사용한 브랜드디자인
제4장 소비자의 환경적 영향 요인과 개인적 영향 요인에 있어 문화코드의 역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문화코드
사회 계층에 따른 문화코드
준거집단과 문화코드
라이프스타일과 문화코드
개성과 문화코드
제2부 브랜드디자인에 있어 문화코드의 기능
제5장 소비자의 욕구와 문화코드의 관계를 적용한 디자인
소비자의 실용적 욕구에 의한 문화코드
소비자의 쾌락적 욕구에 의한 문화코드
소비자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디자인 요소
제6장 트렌드에 있어 문화코드의 역할
트렌드와 문화코드
트렌드 창조자와 트렌드 결정자의 역할과 디자인 특성
트렌드 추종자의 역할과 디자인 특성
제7장 브랜드 터치포인트 디자인 유형에 있어 문화코드의 역할
지속 기능 디자인과 문화코드
단기 기능 디자인과 문화코드
동기 부여 디자인과 문화코드
자극 반응 디자인과 문화코드
소프트 주제 디자인과 문화코드
하드 주제 디자인과 문화코드
제8장 브랜드디자인의 기본 디자인 요소와 문화코드
레이아웃의 문화코드
서체의 문화코드
색채의 문화코드
타이포그래피의 문화코드
이미지의 문화코드
패턴의 문화코드
텍스쳐의 문화코드
형태의 문화코드
스타일의 문화코드
제9장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방법론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이해
브랜드 구축을 위한 연구과정 이해
기초 단계: 브랜드 포지셔닝(Brand Positioning)
1단계: 문화조사 과정(Culture Research)
2단계: 문화분석 과정(Culture Analysis)
3단계: 문화전략 과정(Culture Strategy)
제3부 브랜드의 기본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제10장 지역, 역사, 언어에 의한 문화코드 요소
지역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역사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언어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제11장 전통, 관습, 생활양식에 의한 문화코드 요소
전통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관습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생활양식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제12장 예술, 문학에 의한 문화코드 요소
예술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문학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제13장 종교, 신념에 의한 문화코드 요소
종교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신념 상징 문화코드 요소의 문화 분석
제4부 브랜드 유형에 따른 기본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전략
제14장 로컬 브랜드의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전략
로컬 브랜드와 브랜드 유형의 특성 [기초단계: 2장 참조]
로컬 브랜드의 소비자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1(4장) · 과정 2(5장) 참조]
로컬 브랜드의 소비자 트렌드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3(6장) 참조]
로컬 브랜드의 문화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1(1장 · 2장) 참조]
로컬 브랜드의 문화코드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2(2장) · 과정 3(1장) 참조]
로컬 브랜드의 브랜드 터치포인트 디자인 특성 [3단계 문화전략: 과정 1(3장) · 과정 2(7장) · 과정 3(2장 · 8장) 참조]
제15장 지역 브랜드의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전략
지역 브랜드와 브랜드 유형의 특성 [기초단계: 2장 참조]
지역 브랜드의 소비자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1(4장) · 과정 2(5장) 참조]
지역 브랜드의 소비자 트렌드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3(6장) 참조]
지역 브랜드의 문화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1(1장 · 2장) 참조]
지역 브랜드의 문화코드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2(2장) · 과정 3(1장) 참조]
지역 브랜드의 브랜드 터치포인트 디자인 특성 [3단계 문화전략: 과정 1(3장) · 과정 2(7장) · 과정 3(2장 · 8장) 참조]
제16장 내셔날 브랜드의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전략
내셔널 브랜드와 브랜드 유형의 특성 [기초단계: 2장 참조]
내셔널 브랜드의 소비자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1(4장) · 과정 2(5장) 참조]
내셔널 브랜드의 소비자 트렌드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3(6장) 참조]
내셔널 브랜드의 문화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1 (1장 · 2장) 참조]
내셔널 브랜드의 문화코드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2(2장) · 과정 3(1장) 참조]
내셔널 브랜드의 브랜드 터치포인트 디자인 특성 [3단계 문화전략: 과정 1(3장) · 과정 2(7장) · 과정 3(2장 · 8장) 참조]
제17장 글로벌 브랜드의 문화코드 브랜드디자인 전략
글로벌 브랜드와 브랜드 유형의 특성 [기초단계: 2장 참조]
글로벌 브랜드의 소비자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1(4장) · 과정 2(5장) 참조]
글로벌 브랜드의 소비자 트렌드 특성 [1단계 문화조사: 과정 3(6장) 참조]
글로벌 브랜드의 문화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1(1장 · 2장) 참조]
글로벌 브랜드의 문화코드 특성 [2단계 문화분석: 과정 2(2장) · 과정 3(1장) 참조]
글로벌 브랜드의 브랜드 터치포인트 디자인 특성 [3단계 문화전략: 과정 1(3장) · 과정 2(7장) · 과정 3(2장 · 8장) 참조]
맺음말
부록
찾아보기
참고문헌
자료 제공자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