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금까지 별자리에 관한 좋은 책들이 많았지만 늘 약간의 아쉬움이 있었다. 별자리 찾는 법을 이해시켜 주기보다는 화려한 일러스트에 치중해 별자리 모양과 전설을 설명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이 책은 기존의 책들과 달리 별자리뿐만 아니라 밤하늘, 우주 더 나아가 과학에 대한 것을 실타래 풀듯 하나하나 이해하며 터득해 나가는 기쁨을 맛보게 해 준다. 부천시 부인초등학교 교사 김지인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1 밤하늘 - 옛날 사람들은 왜 밤하늘을 열심히 관측했을까?
방황하는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밤하늘을 열심히 관찰해야 했던 실제 이유는?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를 보고 어떻게 날짜와 시각을 알 수 있을까?
별이 뜨고 지는 것을 보고 어떻게 날짜와 시각을 알 수 있을까?
별자리는 왜 만들었을까?
은미의 생일은 왜 4년에 한 번밖에 돌아오지 않는 것일까?
왜 우(右)반달, 좌(左)반달이라 하지 않을까?
별은 얼마나 크고 얼마나 멀리 있을까?
천체까지 거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우주에서 관측되는 구름의 정체는 무엇일까?
우리는 왜 별을 봐야 할까?

2 별자리 - 내가 찾는 별자리는 어디에 있을까?
세계 지도에서 어떤 나라를 빨리 찾으려면?
크리스마스이브에 견우성과 직녀성을 볼 수 있을까?
왜 생일날 나의 탄생 별자리를 볼 수 없을까?
여름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는 모두 여름철의 별자리일까?
계절별 별자리는 어떻게 정할까?
계절별 별자리의 서쪽과 동쪽에 위치한 별자리는 어느 계절의 별자리일까?
어느 계절의 별자리를 먼저 찾아야 할까?
거문고자리와 전갈자리는 어느 쪽에서 뜨고 질까?
한여름의 별자리 또는 계절별 중심 별자리는 무엇일까?

3 견우와 직녀 - 견우성과 직녀성을 찾아본 적이 있는가?
왜 내가 자신 있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가 없을까?
큰곰자리와 목동자리 중 어떤 별자리를 찾기 쉬울까?
16개의 일등성은 모두 어느 별자리의 알파성일까?
별자리는 위치가 중요할까, 모양이 중요할까?
견우성과 직녀성을 어떻게 구별할까?
서울에서 볼 때 청주와 제천 중 어느 도시가 더 남쪽에 있을까?
별들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을까?
북극성은 어디에 어떤 높이로 떠 있을까?
서울에서 천정을 지나가는 가장 밝은 천체는 무엇일까?
계절별로 가장 찾기 쉬운 별은 어떤 별일까?
계절별 기준 별자리 찾는 방법

4 남중 - 구름 사이로 보이는 별이 어떤 별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태양은 어디서 뜨고 언제 남중할까?
별은 언제 남중할까?
항성시를 알면 내가 찾는 별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을까?
밝은 별 하나만 보여도 그 별이 무슨 별인지 추측할 수 있을까?
항성시를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추분엔 왜 ‘별 찾기가 누워서 떡 먹기’라고 할까?
망망대해를 위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내가 직접 항성시를 계산할 수 있을까?

5 일식과 월식 - 태양이 지구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언제 느낄 수 있을까?
남산 서울타워에서 설악산 대청봉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늘의 달은 동전만 한데 지평선 위의 달은 왜 그렇게 커 보일까?
보름달이 갑자기 어디로 사라지는 것일까?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엇을 보고 지구가 둥글다고 확신했을까?
지구가 보름달보다 세 배밖에 크지 않다는 것을 어떻게 알아냈을까?
태양이 달보다 크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태양이 누구에게 먹히는 것일까?
태양이 지구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막대기 하나로 피라미드의 높이를 어떻게 잴 수 있었을까?
달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어떻게 측정했을까?

6 위대한 논쟁 - 땅일 돌까, 하늘이 돌까?
하늘이 도는 것일까?
천문학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
왜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어야 할까?
하늘이 돌까, 땅이 돌까?
별이 뜨는 시각은 왜 매일매일 조금씩 빨라질까?
금성은 왜 한밤중에는 볼 수 없을까?
초저녁 동쪽 하늘에 갑자기 나타난 밝은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토성과 목성은 별자리 사이를 어떻게 이동할까?
별자리 사이를 방황하는 붉은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행성은 어떻게 역행할 수 있을까?
행성은 언제 역행할까?
천동설과 지동설의 논쟁을 끝낼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는 무엇일까?

7 세상의 중심 - 지구의 자전을 느낄 수 있을까?
천동설이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진 이유는 무엇일까?
망원경에서 배율보다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허블 우주 망원경은 왜 우주에 설치됐을까?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달과 태양을 관측하고 무엇을 느꼈을까?
지구를 돌지 않는 천체를 본 적이 있는가?
초저녁 동쪽 하늘에 보이는 화성과 초저녁 서쪽 하늘에 보이는 화성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금성이 보름달 모양으로 보이는 때가 있을까?
세상의 중심은 태양일까, 지구일까?

더 읽으면 좋은 이야기 하나
더 읽으면 좋은 이야기 둘
더 읽으면 좋은 이야기 셋
더 읽으면 좋은 이야기 넷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 천문학사 = (The) history of astronomy in Korea 한국 천문학사 = (The) history of astronomy in Korea 2017 / 지음: 전용훈 / 들녘
천체망원경은 처음인데요 : 구입과 설치에서 관리까지 사진으로 배우는 천체망원경의 모든 것! 천체망원경은 처음인데요 : 구입과 설치에서 관리까지 사진으로 배우는 천체망원경의 모든 것! 2019 / 지음: 박성래 / 들메나무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 :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별자리 관측 가이드북 처음 시작하는 천체관측 :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별자리 관측 가이드북 2016 / 지음: 나가타 미에 ; 옮김: 김소영 / 더숲
별지기에게 가장 물어보고 싶은 질문 33: 천체관측에 대한 모든 것 별지기에게 가장 물어보고 싶은 질문 33: 천체관측에 대한 모든 것 2022 / 지음: 조강욱 / 들메나무
아빠, 천체관측 떠나요! 아빠, 천체관측 떠나요! 2010 / 지음: 조상호 / 가람기획
134340 플루토, 끝나지 않은 명왕성 이야기 134340 플루토, 끝나지 않은 명왕성 이야기 2018 / 지음: 김상협, 김홍균, 정상민 / 지성사
블랙홀과 우주론 : 우주학당 강의 노트 블랙홀과 우주론 : 우주학당 강의 노트 2023 / 지음: 박석재 / 동아엠앤비
(미스터 갈릴레이의)별별 이야기 : 별을 찾으며 과학을 배우다 (미스터 갈릴레이의)별별 이야기 : 별을 찾으며 과학을 배우다 2019 / 글: 심재철 ; 일러스트: 정중호 / 동아엠앤비
천문대의 시간 천문학자의 하늘 천문대의 시간 천문학자의 하늘 2018 / 지음: 전영범 / 에코리브르
다정한 물리학 : 거대한 우주와 물질의 기원을 탐구하고 싶을 때 다정한 물리학 : 거대한 우주와 물질의 기원을 탐구하고 싶을 때 2022 / 지음: 해리 클리프 ; 옮김: 박병철 / 다산사이언스 :
우주와 별 이야기 우주와 별 이야기 2019 / 지음: 하타나카 다케오, 옮김: 김세원 /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우주와 천체의 원리를 그림으로 쉽게 풀이한)천문학 사전 (우주와 천체의 원리를 그림으로 쉽게 풀이한)천문학 사전 2018 / 지음: 후타마세 도시후미; 그림: 도쿠마루 유; 옮김: 조민정 / 그린북
경이로운 우주 : 낭만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시선으로 본 우리의 우주 경이로운 우주 : 낭만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시선으로 본 우리의 우주 2019 / 지음: 브라이언 콕스, 앤드루 코헨 , 옮김: 박병철 / 해나무
기발한 천체 물리: 바쁜 당신을 위한 날마다 천체 물리 그림 특강 기발한 천체 물리: 바쁜 당신을 위한 날마다 천체 물리 그림 특강 2021 / 지음: 닐 디그래스 타이슨; 그레고리 몬; 옮김: 이강환 / 사이언스북스
나의 대답은 오직 과학입니다 나의 대답은 오직 과학입니다 2020 / 지음: 닐 디그래스 타이슨 ; 옮김: 배지은 / 반니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살인자의 기억법 : 김영하 장편소설 살인자의 기억법 : 김영하 장편소설 2013 /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5월 18일, 맑음 5월 18일, 맑음 2019 / 외 지음: 임광호 / 창비
로마제국 쇠망사. 1 로마제국 쇠망사. 1 2008 / 에드워드 기번 지음 ; 윤수인, 김희용 옮김 / 민음사
(우주와 천체의 원리를 그림으로 쉽게 풀이한)천문학 사전 (우주와 천체의 원리를 그림으로 쉽게 풀이한)천문학 사전 2018 / 후타마세 도시후미 지음 ; 나카무라 도시히로 구성 ; 도쿠마루 유우 그림 ; 조민정 옮김 / 그린북
생각 정리 공부법 : 자유학기제를 위한 읽기, 쓰기, 말하기 가이드 생각 정리 공부법 : 자유학기제를 위한 읽기, 쓰기, 말하기 가이드 2016 / 김민영, 정지연, 권선영 지음 / 학교도서관저널
식물 예찬 : 우리는 왜 식물을 좋아하는가 식물 예찬 : 우리는 왜 식물을 좋아하는가 2019 / 지음: 예른 비움달 ; 옮김: 정훈직, 서효령 / 더난
하리하라의 청소년을 위한 의학 이야기 하리하라의 청소년을 위한 의학 이야기 2014 / 이은희 지음 / 살림Friends
(청소년을 위한) 역사란 무엇인가 (청소년을 위한) 역사란 무엇인가 2008 / 지음: 최경석 / 살림Friends
그리스인 조르바 그리스인 조르바 2019 / 지음: 니코스 카잔차키스; 옮김: 이윤기 / 열린책들
빅데이터 소사이어티 빅데이터 소사이어티 2019 / 마르크 뒤갱, 크리스토프 라베 지음; 김성희 옮김 / 부키
숲을 듣다 : 숲연구가 황호림의 세 번째 숲 이야기 숲을 듣다 : 숲연구가 황호림의 세 번째 숲 이야기 2019 / 황호림 지음 / 책나무
해서는 안 되는 디자인 해서는 안 되는 디자인 2019 / 히라모토 구미코 지음; 장인주 옮김 / 미디어샘
맛있는 수채화 캘리그라피 맛있는 수채화 캘리그라피 2018 / 지음: 이명선 / 경향미디어
(사진으로 읽는)제비꽃의 모든 것 : 10년 동안 산과들을 누비며 찾은 아름다운 제비꽃 이야기 (사진으로 읽는)제비꽃의 모든 것 : 10년 동안 산과들을 누비며 찾은 아름다운 제비꽃 이야기 2019 / 지음: 조명환, 배양식, 김영임 / 마음서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코스모스 코스모스 2020 / 지음: 칼 세이건 ; 옮김: 홍승수 / 사이언스북스
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 [이북 E-book] 명왕성 킬러 마이크 브라운의 태양계 초유의 행성 퇴출기 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 [이북 E-book] 명왕성 킬러 마이크 브라운의 태양계 초유의 행성 퇴출기 2021 / 마이크 브라운 지음 ; 지웅배 옮김 / 롤러코스터
모든 것의 기원 : 예일대 최고의 과학 강의 모든 것의 기원 : 예일대 최고의 과학 강의 2017 / 지음: 데이비드 버코비치 ; 옮김: 박병철 / 책세상
창문을 열면 우주 : 일상에 활기를 더하는 하루 한 편 우주탐사 창문을 열면 우주 : 일상에 활기를 더하는 하루 한 편 우주탐사 2021 / 지음: 문경수 / 시공사
숨은 별자리 찾기 숨은 별자리 찾기 2016 / 지음: 한스 아우구스토 레이 ; 옮김: 이현주 / 비룡소
엔드 오브 타임 : 브라이언 그린이 말하는 세상의 시작과 진화 그리고 끝 엔드 오브 타임 : 브라이언 그린이 말하는 세상의 시작과 진화 그리고 끝 2022 / 지은이: 브라이언 그린 ; 옮긴이: 박병철 / 와이즈베리 :
우주의 끝을 찾아서 :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있을 수 없던’ 우주 이야기 우주의 끝을 찾아서 :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있을 수 없던’ 우주 이야기 2014 / 지음: 이강환 / 현암사
스티븐 호킹의 블랙홀 스티븐 호킹의 블랙홀 2018 / 지음: 스티븐 호킹, 옮김: 이종필 / 동아시아
믿을 수 없겠지만 빅뱅 믿을 수 없겠지만 빅뱅 2020 / 지음: 카타리나 소브럴 ; 옮김: 이지유 / 키다리
더 높이, 더 멀리 더 높이, 더 멀리 2001 / 장피에르 베르데 글 ; 피에르 봉 그림 ; 조현실 옮김 ; 김용하 감수 / 파랑새어린이
우주, 시간, 그 너머 : 원자가 되어 떠나는 우주 여행기 우주, 시간, 그 너머 : 원자가 되어 떠나는 우주 여행기 2017 / 지음: 크리스토프 갈파르, 옮김: 김승욱 / RHK
(이토록 재밌는) 수상한 과학책  (이토록 재밌는) 수상한 과학책 2024 / 지음: 호르헤 챔 , 대니얼 화이트슨 ; 옮김: 김종명 / RHK
안녕, 나는 태양이야!: 수많은 별들 중 하나, 태양 이야기 안녕, 나는 태양이야!: 수많은 별들 중 하나, 태양 이야기 2020 / 글: 스테이시 매카널티; 그림: 스티비 루이스; 옮김: 최순희 / 현암주니어
빅뱅의 메아리 : 우주가 빛에 새긴 모든 흔적 우주배경복사 빅뱅의 메아리 : 우주가 빛에 새긴 모든 흔적 우주배경복사 2017 / 지음: 이강환 ; , / 마음산책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 쉽고 재미있는 우주론 강의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 쉽고 재미있는 우주론 강의 2015 / 이종필 지음 ; 김명호 그림 / 동아시아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2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1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3
2021년1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