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실과 꿈을 넘나들며 심리를 탐구하는 지적 여행, 꿈 해석의 역사부터 체계적 해석 방법까지, 꿈 심리학의 모든 것. 매일 꾸면서도 풀리지 않았던 꿈과 깊숙한 내면의 비밀을 명쾌하게 해석하는 꿈 심리학 교양서.
목차
머리말
1부 꿈이란 무엇인가?
1장 다양한 종류의 꿈
2장 꿈과 영화의 유사점과 차이점
1. 꿈과 영화는 비슷하다
2. 그러나 꿈은 영화와는 다르다
3장 꿈이란 ‘수면 중에 일어나는 정신활동’이다
2부 꿈 해석의 역사
1장 신령적 접근: 꿈의 전달자는 신이었나?
1. 고대 이집트: 꿈을 읽는 신관
2. 고대 수메르: 〈길가메시 서사시〉에 기록된 꿈
3. 고대 그리스: 문학작품이나 기록에 나타난 꿈
4. 성경에 기록된 요셉이 해몽한 꿈
5. 석가모니가 꾼 5개의 꿈
6. 페르시아: 키루스 2세의 태몽
7. 로마 시대에 기록된 꿈
8. 아르테미도로스, 고대 서양 꿈 해석의 최고 권위자
9. 중국인의 꿈과 해석
10. 한국인의 꿈과 해석
2장 심리적 접근: 신으로부터 인간에게로
1. 프로이트, 꿈의 해석을 코페르니쿠스적으로 전환시키다
2. 융, 꿈은 무의식이 말하고자 하는 어떤 특별한 것을 표현한다
3. 아들러, 꿈은 꿈꾼 사람의 생활양식을 반영한다
4. 펄스, 꿈은 통합으로 가는 왕도이다
5. 보스, 꿈은 있는 그대로를 드러낼 뿐이다
6. 프랭클, 꿈은 심령적 무의식이 전해주는 메시지다
7. 요약: 심리학자들의 꿈에 관한 관점 비교
3장 신경생리학적 접근: 꿈은 뇌의 잡음에 불과한가?
1. 게이지, 뇌의 특정 부위의 손상으로 인격이 바뀌다
2. 브로카, 뇌는 영역별로 전문화되어 있다
3. 몰래슨의 사고, 무의식을 관장하는 뇌 영역을 발견하다
4. 베르거, 뇌의 텔레파시를 측정하려다 뇌파를 측정하다
5. 아세린스키, 최초로 꿈을 꾸는 렘수면을 발견하다
6. 클라이트먼, 렘수면을 확인하다
7. 주베, 고양이도 꿈을 꾼다!
8. 디멘트, 수면의 단계 발견
9. 홉슨, 활성화-종합 가설을 제기하다
10. 솔름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을 과학적으로 옹호하다
11. 꿈꾸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
12. 요약: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본 꿈과 꿈 영상
3부 꿈의 자극원에 따른 유형 분류
1장 생리몽
1. 외부 자극에 의한 생리몽
2. 내부 자극에 의한 생리몽
3. 생리적 자극과 심리상태가 결합한 꿈
2장 심리몽
1. 심리적 회상몽
2. 심리적 현재몽
3. 심리적 시연몽
3장 정리몽ㆍ학습몽
4장 연구몽ㆍ창작몽
1. 연구몽
2. 창작몽
5장 예지몽
1. 투시적 예지몽과 은유적 예지몽
2. 인생 시기별 예지몽
3. 죽음을 암시하는 예지몽을 피할 수 있는가?
6장 꿈 내용에 대한 과학적 통계분석
7장 요약: 꿈의 유형 비교
4부 꿈의 상징, 재료와 추진력
1장 꿈의 상징
1. 상징의 보편성ㆍ특정성
2. 상징의 개별성
3. 심리 내적 갈등이 만들어낸 상징들
2장 꿈의 재료와 추진력
1. 기억
2. 감정
3. 무의식
4. 무의식에 관여하는 뇌의 부위
3장 요약: 꿈 상징의 3측면과 꿈 재료의 3요소
5부 꿈의 해석을 위한 접근 방법
1장 기존의 접근 방법
1. 프로이트의 자유연상법
2. 융의 확충법
3. 펄스의 게슈탈트 해석법
4. 보스의 현존재 분석법
2장 체계적 분석 방법
1. 기본 가정과 접근 방법
2. 체계적 분석의 6단계
3장 요약: 꿈이 주는 유용성
부록. 꿈 종류의 판단을 위한 간편 자가진단법
용어해설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