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20세기 인천부평 대중음악〉 발간에 앞서 / 박준흠
<20세기 인천부평 대중음악>에 부쳐 / 장유정
광복 이전 인천의 대중음악 / 장유정
1. 광복 이전 인천의 상황과 대중음악
2. 이방인이 바라본 인천과 근대음악
3. 인천 최초의 근대 유행가인 〈인천아리랑〉
4. 인천 관련 대중가요의 몇 가지 양상
5. 인천 출신의 대중가요인
6. 인천의 대중가요 공연 상황
1950, 60년대 인천의 대중음악 / 최규성
I. 1950년대 인천의 대중음악
1. 1950년대 인천의 상황과 대중음악
2. 1950년대 인천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들
3. 1950년대 인천 출신 가수 및 음악인
4. 부평 미 군수지원 사령부 애스컴(ASCOM)
5. 1950년대 애스컴 클럽 연주인들의 거주지 삼릉
6. 애스컴 주변 신촌 지역의 기지촌
7. 1950년대 인천 시내의 미군 및 외국인 전용클럽
8. 1950년대 인천의 극장, 다방, 악기, 음반점, 음악학원
II. 1960년대 인천의 대중음악
1. 1960년대 인천의 상황과 대중음악
2. 1960년대 인천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들
3. 1960년대 인천 출신 가수 및 음악인
4. 1960년대 인천의 극장, 음악클럽, 다방, 음반가게들
5. 최대 활황기를 누린 1960년대 애스컴 미군클럽
6. 해외로 진출한 인천의 걸 밴드들
1970년대 인천의 대중음악 / 서병기
1. 1970년대 인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단서
2. 1970년대 인천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과 노동운동
3. 1970년대 인천 대중문화 활동과 대중음악
1980년대 인천의 대중음악ㆍ송명하
1. 1980년대 인천의 상황과 대중음악
2. 1980년대 인천의 음악, 그리고 ‘인천 음악 씬’
1990년대 인천의 대중음악 / 김성환
1. 1990년대 인천의 상황과 대중음악
2. 1990년대 대중음악사 속 인천에 대한 개관
3. 1990년대 인천 대중가요의 현황
4. 인천의 대표적 로컬 헤비메탈 밴드와 그들의 앨범들
5. 1990년대 후반: 다음 세기 로컬 클럽 문화의 출발점 - 부평 지역 대중음악 씬
6. 인천의 재즈, 그 90년대에 대하여
7. 1990년대 후반 로컬 장르 씬의 붕괴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