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 과학 시리즈 3권. 로켓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이나 로켓 공학을 공부하는 이공계 학생에게 로켓이 작동하는 이면에 어떠한 과학기술이 작용하는지 소개한다.
1부 탄도탄의 개요 제1장 탄도탄의 정의 1. 탄도탄의 정의 2. 탄도탄을 유도탄이라고 하는 이유 제2장 탑재질량과 이륙질량 1. 탑재질량과 이륙질량 간의 관계 2. 탄두질량, 폭발력 및 피해반경 제3장 사거리별 탄도탄의 필요성 1. 모든 사거리를 커버하는 탄도탄이 없는 이유 2. 사거리를 기준으로 한 탄도탄의 분류 제4장 미국과 구소련 탄도탄 DNA의 진화과정 1. 탄도탄의 초라한 출생 2. 로켓과 핵폭탄의 상승효과 3. 탄도탄 DNA의 돌연변이 제5장 공포에 의해 추진되는 탄도탄의 기술 변천 1. 미사일 갭 아메리칸 스타일 2. 미사일 갭 소비에트 스타일 3. 탄도탄 DNA의 두 번째 돌연변이: 다탄두 미사일
2부 자유낙하궤도와 람베르트 문제 제1장 역제곱 중력장에서 자유낙하 문제 1. 편평 지구 중력장에서 탄도탄의 자유낙하궤도 2. 역제곱 중력장에서 탄도탄의 자유낙하궤도 제2장 람베르트 조준과 요구속도 VR 1. 람베르트 조준 2. 케플러 방정식
3부 탄도탄 궤도 제1장 동력 비행궤도와 자유낙하궤도 1. 발사장소의 관성계에 대한 속도 2. 동력 비행궤도와 자유낙하궤도 제2장 기준궤도 1. 기준궤도의 정의 2. 가상 발사점 L′과 원지점 A 및 표적 T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궤도 3. 최소에너지 기준궤도: RMET 제3장 동력 비행궤도 1. 동력 비행의 기본방정식 2. 대기밀도 3. 자전하지 않는 구球형 지구에서의 동력 비행궤도 4. 탄도계수 5. 로켓의 속도 성능
4부 크로스 프로덕트 유도조종 제1장 개방형 유도 1. 수직 상승궤도 2. 저궤도 구간에서 유도조종: 개방형 유도 제2장 폐쇄형 유도 1. 폐쇄형 유도 2. 속도 오차 제3장 ‘크로스 프로덕트’ 조종법(CPS) 1. 제로 크로스 프로덕트 조종법(ZCPS) 2. 논제로 크로스 프로덕트 조종법(NZCPS) 제4장 기준궤도를 이용한 CPS 유도 및 에너지 소모 조종법 1. 기준궤도를 이용한 크로스 프로덕트 조종법(CPS) 2. 에너지 소모 조종법(EMS) 3. 회전하는 지구의 영향
5부 재돌입의 물리학 제1장 재돌입궤도의 특성 1. 일정한 중력을 가진 편평 지구에서 재돌입 2. 대기저항에 의한 재돌입체 가열 제2장 재돌입의 물리학 1. 재돌입궤도 방정식 2. 구-원추형 재돌입체의 탄도계수 3. RV에 흡수되는 열량 계산 4. 융제현상과 RV의 마찰열 차폐 5. 열전도로부터 페이로드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