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조 시대 시조의 주요 모티프와 미의식, 그것들이 형성한 심상공간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본 책.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 시조의 모티프들이 거시적으로 어떤 역동성을 보였으며, 이들은 심상공간의 형성 변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고찰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설
1. 목표, 범위, 방법
2. 목적론적 근대주의를 넘어서
3. 인간, 의미행위, 심상공간
제2장 모티프 연구와 ‘행위자들의 귀환’
1. 모티프론과 환원주의의 함정
2. 원천적 의미와 수행적 의미, 그리고 행위자들
3. 굴원과 초사 「어부」편의 해석 문제
4. 도연명의 초상과 이미지들
5. 의미행위자들에 관한 전제
제3장 색인어 관계망의 지형도
1. 주제사 탐구와 색인어 관계망
2. 관계망 연구와 k-코어 분석
3. 세 가지 핵심 관계망; 강산, 전가(田家), 정념(情念)
4. 강산 관계망의 거시적 윤곽
5. 전가 관계망의 거시적 윤곽
6. 정념 관계망의 거시적 윤관
제4장 강산 관계망
1. ‘강산’과 ‘전가’의 의미
2. 양반층 시조의 강산 관계망 추이
3. 16세기 양반층 시조의 강산 관계망
4. 17세기 양반층 시조의 강산 관계망
5. 18~19세기 양반층 시조와 강산 관계망
6. 18세기 평민층 시조의 강산 관계망
7. 19세기 평민층 시조의 강산 관계망
제5장 전가 관계망
1. 전가 관계망의 시대적 추이
2. 16세기 양반층 시조의 전가 관계망
3. 17세기 양반층 시조의 전가 관계망
4. 18세기 양반층 시조의 전가 관계망
5. 19세기 양반층 시조의 전가 관계망
6. 18·19세기 평민층 시조와 전가 관계망
7. 작자불명 시조와 전가 관계망
제6장 정념의 물결
1. 정념류 작품의 분포 양상
2. 양반층 시조의 정념류와 16, 17세기
3. 18세기 양반층의 정념 시조
4. 19세기 양반층의 정념 시조
5. 18세기 평민층의 정념 시조
6. 19세기 평민층의 정념 시조
7. 기녀 시조와 정념
8. 정념류의 팽창과 18·19세기 시조사
9. 남녀창 분리와 정념의 극적 연출
10. 『가곡원류』군집의 작품 선택과 지향
제7장 욕정과 갑남을녀들
1. 욕정류 사설시조의 수량적 추이
2. 욕정류 사설시조와 『가곡원류』시대
3. 18·19세기 시조사와 욕정류 작품군의 문제
제8장 결론
1. 방법론적 토대와 전제
2. 16, 17세기의 모티프 관계망과 심상공간
3. 18, 19세기의 모티프 관계망과 심상공간
참고문헌
부록 1 색인어 설계와 구현
부록 2 작품, 작가, 문헌과 시대귀속 판별
부록 3 고시조 문헌 약칭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