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고학은 유라시아 각지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북방 유라시아 일대의 제사고고학과 관련한 자료를 소개하고 한국과 비교하기 위하여 국립전주박물관에서 기획한 강의를 묶어서 이 책으로 모았다.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를 발간하며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과 한반도
1부 북방 초원지역 시베리아와 한국의 무속의례 / 곽진석 1. 한국문화와 시베리아 2. 한국 천령의례와 나나이족 천령의례 절차 3. 한국 천령의례 와 나나이족 천령의례 절차 비교 4. 한국 천령의례와 나나이족 천령의례에 나타난 세계관 몽골의 오보신앙과 오보제 / 이평래 1. 오보의 기원 2. 오보신앙의 성립 3. 오보신앙의 확산 4. 오보신앙의 구조 5. 오보신앙의 표현 형식 6. 현대 오보제의 실상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죽음에 대한 관념들 / 이건욱 1. 도입부 - 객사(客死) 2.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죽음 3. 글을 마치며 흉노의 동물매장 의례와 한반도와의 비교 / 장윤정 1. 머리말 2. 우리나라 동물매장 유례 3. 우리나라 동물매장 의례의 특징 4. 흉노의 동물매장 의례와 한반도와의 비교 5. 맺음말
2부 환동해 문화권과 연해주 고고학으로 본 환동해문화권의 제사유적 / 강인욱 1. 서론 2. 환동해선사문화권의 설정 3. 시기별 환동해 제사 관련 유물과 유적의 제양상 4. 결론 - 환동해 지역 제의문화의 형성배경 및 특징 환동해문화권 선사시대 토우와 생활의례 / 김재윤 1. 머리말 2. 동북아시아의 토우 3. 환동해문화권 토우: 극동전신상 토우 4. 토우와 움집 5. 선사시대 토우와 민족지 자료의 비교 6. 맺음말 유적과 유물로 본 말갈·발해의 종교와 제사 / 홍형우 1. 머리말 2. 유물로 본 말갈·발해의 종교와 제사 3. 맺음말 발해와 신라로 전래된 기독교 / 강인욱 1. 들어가며 - 네스토리우스교의 실크로드 진입 이유 2. 동아시아 각국의 네스토리우스교 자료 3. 발해와 신라 유물 속의 네스토리우스교 4. 마치며: 네스토리우스는 실크로드 위의 다양한 문화 융합의 산물이다.
3부 만주 일대의 제사 중국 요서지역의 신석기시대 제례 / 홍은경 1. 머리말 2. 요서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와 제례 3. 홍산문화의 양상 4. 홍산문화의 제례 5. 맺음말 상주 청동기의 발전과 요서 지역에서의 매납 / 심재훈 1. 하, 상, 주 삼대 역사 2. 이리두에서 은허까지 청동기의 발전 3. 서주 청동기의 발전과지역적 층자 4. 요서 지역에서 발견된 상주 청동기 5. 결론: 이주, 교류, 약탈? 한반도 동검문화의 전개와 제사 / 강인욱 1. 서론 2. 주요 매납 유적 3. 고찰 4. 결론
글래시스 로드 : 안경으로 읽는 유라시아 교역 네트워크 2021 / 지음: 한지선 / 위즈덤하우스
유신 그리고 유신 : 야수의 연대기2022 / 지음: 홍대선 / 메디치미디어
선택의 기술 : 서로 다른 미래를 결정짓는 기로의 순간2017 / 지음: 홍재원 / 지식과감성#
선택의 기술 : 서로 다른 미래를 결정짓는 기로의 순간2017 / 지음: 홍재원 / 지식과감성#
미국에서 찾은 아시아의 미: 차별과 편견이 감춘 아름다움2023 / 지음: 황승현 / 서해문집
東아시아關係史 資料索引 및 分類目錄2003 / 檀國大學校附設 東洋學硏究所 편 / 國學資料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