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영화가 그려내는 미래의 모습에는 과학 발전에 대한 전망은 물론이고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불안이 무의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 책은 SF영화의 미학적 잠재력과 과학적.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해 ‘우주’, ‘시간’, ‘디스토피아’ 등의 핵심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들어가는 글
제1장 SF영화의 과거와 현재 1. SF영화의 기원과 조건 2. 20세기 SF영화의 역사 1) 장르의 태동기: 1940년대까지 2) 장르의 황금기: 1950년대 3) 1960년대 이후의 주요 작품 3. 20세기 SF영화의 주요 논점들
제2장 우주: 경이롭고 치명적인 공간 1. 우주 공간의 창조: 상상적 세계를 향하여 2. 우주 재현의 테크놀로지와 시청각 체험: <인터스텔라>와 <그래비티> 3. 삶의 터전으로서의 우주
제3장 시간: 비선형적 시간의 궤적에서 1. 시간의 비선형적 지각과 미래의 기억: <컨택트> 2. 미래 예지와 자유의지의 문제: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컨택트> 3. 시간여행: 시간과 역사를 통제하기
제4장 디스토피아: 감시와 통제 사회 1.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미래: 개인의 생존 투쟁 2. 세계의 붕괴를 저지하라: 국가 통제 권력의 정당성 3.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통한 감시 매커니즘 4. 통제 사회: 체제 전복의 가능성을 꿈꾸다
제5장 가상현실: 오락과 노동 사이 1. 가상세계의 창조: 가상과 현실의 경계 2. 가상현실과 물질성의 관계 3. 가상현실 체험이 오락을 넘어 노동이 될 때: <레디 플레이어 원>
제6장 포스트휴먼: 인간과 지능형 기계의 혼종과 진화 1. 정신과 신체의 인공적 관계: <얼터드 카본>의 정신 업로딩 2. 지능형 기계가 인간의 형상을 취할 때 1) 안드로이드는 포스트휴먼일 수 있는가: <엑스 마키나> 2) 복제인간에게도 영혼이 있는가: <블레이드 러너 2049> 3. 포스트휴먼의 창조와 진화 1) 지능형 기계의 창발적 진화와 신성의 획득: <에일리언: 커버넌트> 2) 유기체의 진화에 대한 전복적 시선: <서던 리치: 소멸의 땅>
마치는 글 참고문헌
메소드 : 20세기를 지배한 연기 테크닉 2023 / 지음: 아이작 버틀러 ; 옮김: 윤철희 / 에포크
연기를 배우면 생기는 7가지 선물2022 / 지음: 이지수 / 가나북스
시작하는 배우를 위한 보이스2014 / 리나 쿡 지음 ; 최정선 옮김 / 비즈앤비즈
씬스틸러의 인생 명대사2016 / 강선주, 김현수 지음 / 팬덤북스
오펜하이머 각본집2023 / 지음: 크리스토퍼 놀란; 옮김: 김은주 / 허블:
(각본)비밀은 없다2017 / 이경미 외 지음 / 유어마인드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2010 / 마이클 티어노 지음 ; 김윤철 옮김 / 아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