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갑오동학농민혁명이 정부 공식기념일로 지정된 2019년, <전봉준 평전>이 새로이 독자들과 만나게 된다. 초판이 나온 1982년으로부터 37년, 재판이 나온 1996년으로부터 23년이 흐른 시점에서 제3판이 나오게 되었다.
목차
서장(緖章)에 대신하여: 개정3판 서문
다시 쓰는 서문: 재판 서문
글머리에: 초판 서문
Ⅰ. 태어남
1. 출생지
2. 가계(家系)와 가문(家門)
3. 수학 시절
4. 유랑의 세월
Ⅱ. 만남
1. 아버지와 아내
2. 동지들
3. 조병갑
Ⅲ. 횃불
1. 항변
2. 고부민란: 1차 기포(起包)
3. 귀소(歸巢)
Ⅳ. 2차 기포(起包)
1. 박해
2. 무장(茂長)에서 황룡촌(黃龍村)까지
3. 전주성
4. 집강소
Ⅴ. 음모
1. 일본 천우협(天佑俠)과의 관계
2. 대원군(大院君)과의 관계
3. 북접(北接)과의 갈등
Ⅵ. 전봉준은 과연 동학도였을까?
1. 왜 이 문제는 거론되어야 하는가?
2. 종래의 주장과 논쟁의 시말
3. 교도에 관한 논쟁
4. 접주(接主)에 관한 논쟁
5. 맺는 말
Ⅶ. 조선의 십자군: 3차 기포(起包)
1. 청일전쟁과 일본의 대응
2. 번민
3. 북진
4. 우금고개에서
5. 혁명인가, 전쟁인가?
Ⅷ. 떨어지는 별
1. 패주의 길
2. 황금에 눈이 먼 사람들
3. 공판과 처형
4. 유족(遺族)
부록
전봉준 공초(供草)
1. 초초(初招: 1895년 2월 9일)
2. 재초(再招: 1985년 2월 11일)
3. 삼초(三招: 1895년 2월 19일)
삼초의 1: 일본 영사의 訊問
4. 사초(四招: 1895년 3월 7일, 日本領事의 訊問)
5. 오초(五招; 1895년 3월 10일, 일본영사의 신문)
전봉준 유적지 답사기
1차 답사
2차 답사
3차 답사
한국사상연구회 참관기
4차 답사
5차 답사
참고문헌
면담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