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Ⅰ. 총론
1. 서설
2. 연구배경과 목적
3. 선행연구의 분석
4. 연구방법과 내용
Ⅱ. 조선시대 어진(御眞)의 역사적 배경
1. 어진과 도화서(圖畵署)
1) 어진의 개념
2) 도화서와 어진화사
2. 어진의 제작
1) 제작목적
2) 제작과정
Ⅲ. 조선시대 어진의 상학(相學)의 관계
1. 어진의 보존현황
2. 제왕학과 상학
1) 제왕의 의미
2) 제왕과 상학의 관계성
2) 제왕과 인재의 차이점
3. 어진과 상학의 연관성
1) 사실성과 상학
2) 회화성과 상학
Ⅳ. 조선시대 어진의 상학적 분석
1. 어진 분석을 위한 상학이론
1) 동양 상학의 이론적 기반
2) 어진 분석을 위한 상학의 세부이론
3) 제왕의 상학적 분석
2. 어진의 상학적 분석
1) 태조어진 분석
2) 세조어진 분석
3) 영조어진 분석
4) 철종어진 분석
5) 고종어진 분석
6) 순종어진 분석
Ⅴ. 조선시대 어진의 상학적 응용과 과제
1. 어진의 상학적 가치
2. 어진을 통한 지도자의 상학적 응용
1) 지도자의 내적 인격관리
2) 지도자의 외적 풍모관리
3) 지도자의 리더십 함양
3. 어진의 상학적 과제
1) 어진의 자료적 한계
2) 어진의 보관과 관리문제
3) 어진화사의 추상적 성향
Ⅵ. 어진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