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공자 ― 정치는 덕으로 하는 것이다
창고지기도 하고 목장 관리도 하고
아들 이름에 ‘잉어’의 뜻을 담다
쉰네 살에 재상에 오르다
말년, 상갓집 개와 같더라
왜 다들 선생님을 스승으로 삼으려 하나요?
아들의 죽음보다 제자의 죽음을 더 슬퍼하다
제왕이 부럽지 않은 장례식을 치르다
2 맹자 ― 인과 의를 해치면 군주가 아니다
모방의 천재, 맹모삼천지교를 만들어 내다
학업을 중간에 그만두면 아무 쓸모가 없다
왕의 입을 다물게 하다
군주가 군주답지 못하면 언제든 바꿀 수 있다
3 노자 ― 도는 우주의 근본 원천이다
성장 과정이 알려지지 않은 미스터리 인물
공자가 노자에 대해 평하다
혼란한 시대, 몸을 낮추고 숨어 지내다
『도덕경』, 인류 역사상 가장 값진 책으로 꼽히다
노자는 실존 인물이었을까?
무위자연에서 유연하게 살아가라
4 장자 ― 도를 위해 사사로운 마음을 버려야 한다
아내의 단잠을 방해하고 싶지 않네
붕어 한 마리를 위해 강의 물을 끌어다 쓰랴
살아서 흙탕물 속에서 꼬리 치고 살겠소
썩은 쥐에 관심 없소이다
혜시를 잃고 마음 아파하다
하늘과 땅을 관으로 삼다
내가 나비인가, 나비가 나인가
5 관중 ― 백성들이 잘살아야 나라가 부강해진다
우정의 상징 ‘관포지교’
관중, 적국의 재상으로 등용되다
늙은 말과 개미의 지혜를 빌리다
포숙은 재상감이 아닙니다
창고가 가득 찬 뒤에야 예절을 안다
사람을 키우는 것보다 더 훌륭한 것은 없다
6 한비자 ― 이기적인 사람에게는 법이 특효약이다
말더듬이의 울분, 시황제를 감탄시키다
이사의 모함으로 억울한 죽음을 맞다
이사, 진시황을 도와 천하통일을 이루다
야심가들의 음모와 계략
인성은 악하고 이기적이다
유세의 어려움, 죽음으로 알리다
7 주자 ― 하나가 모두요, 모두가 하나이니라
하늘 위에는 또 무엇이 있습니까?
여러 스승들과 학문적 논의를 펼치다
백록동서원, 700년 중국 교육의 기준이 되다
정치적 탄압에 시달리다
세상을 떠난 후에 인정받다
8 원효 ― 나와 너의 구별이 없다
배고픈 너구리에게는 먹이가 불공이다
구제받아야 할 것은 내 마음이로다
세상의 온갖 것이 오직 마음 하나
요석 공주와의 하룻밤으로 파계승이 되다
광대 복장을 하고 불교를 대중화시키다
내 똥이 네 고기다
하나의 대들보 역할을 하다
9 이규보 ― 사람은 저절로 태어날 뿐이다
충신인가, 권신의 압객인가?
화복흥망은 자신의 힘에 달려 있다
무당은 구멍 속에 사는 천년 묵은 쥐
10 김시습 ― 신동으로 태어나 방랑자로 살다
세종대왕도 감탄한 신동
유학자의 갓을 내버리다
사육신의 시체를 거두다
머리는 깎되 수염은 기르다
우리나라 최초의 사랑 소설을 쓰다
권신을 조롱하다
재산을 찾기 위해 입에 거품 물고 싸우다
11 이황 ― 조선 최고의 철학적 논쟁을 벌이다
잘될 나무는 떡잎부터 다르다
벼슬보다는 학문 연구에 뜻을 두다
사단칠정 논쟁으로 성리학의 독특한 발전을 가져오다
투호로 집중력을 기르다
일어나 앉은 채로 숨을 거두다
12 정약용 ― 통치자는 백성을 위해 존재한다
붕당 정치의 유래
정조의 절대적인 총애를 받다
당쟁의 와중에서 백성의 원통함을 풀어 주다
물 잃은 용이 되다
강진에서의 귀양살이
18년의 유배 생활이 끝나다
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