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템플턴 동아시아 과학사상 총서 3권. 중국의 수학은 고대 바빌론, 고대 이집트, 고대 인도는 물론 중세의 이슬람 세계와도 전혀 달랐다. 중국은 고대부터 수를 헤아릴 때 십진기수법을 채택하였고, 계산에서는 산가지를 그 도구로 사용하였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제1장 중국 고대 수학의 초기 단계(선진)
1. 최초의 수와 형의 개념
1) 수의 기원과 결승·규구에 대해서
2) 십진법 문자의 기수
2. 주산籌算- 중국 고대의 주요한 계산법
1) 주산籌算의 창제
2) 십진지위제의 산주기수법
3) 주산의 가감승제 사칙연산
3. 선진고서 중의 수학지식과 고대의 수학교육
1) 「고공기」, 『묵경』 등에 보이는 수학지식
2) 수학교육과 사회, 법산, 주인의 출현
제2장 중국 고대 수학 체계의 형성(한대)
1. 『주비산경』
1) 내용 개관
2) 영방과 진자의 대화 중의 수학적 내용
3) 구고정리와 구고측량
4) 『주비상경』중의 분수계산
2. 『구장산술』
1) 내용 개관
2) 산술 방면의 성취
3) 기하 방명의 성취
4) 대수 방면의 성취
3. 죽간『산수서』
제3장 위진남북조시기의 중국수학의 발전
1. 조상의 「구고원방도주」
2. 유휘의 공헌
1) 할원술
2) 『구장산술주』의 기타 성취
(1) 극한 개념
(2) 기하 상의 분分·합合·이移·보補의 방법
3) 『해도산경』
3. 남북조 시대의 위대한 수학자 조충지
1) 조충지, 조긍 소전
2) 원주율에 관한 계산
3) 구체의 체적 계산에 관해서
제4장 수당시기의 중국수학
1. 수당 천문학자의 보간법 연구
2. 십부산경과 수당시기의 수학교육
1) 십부산경
(1) 『손자산경』
(2) 『오조산경』, 『오경산술』, 『수술기유』
(3) 『하후양산경』
(4) 『장구건산경』
(5) 『집고산경』
2) 수당시기의 수학교육
3) 수당시대 수학의 중외 교류
제5장 송원시대 중국수학의 고도한 발전
1. 송원수학 개관
2. 증승개방법- 고차방정식의 수치 해법
1) 중승개평방, 개립방법
2) 개방작법본원도 - 이항정리계수표
3) 고차방정식의 수치 해법
3. 천원술에서 사원술로
1) 천원술의 탄생과 그 발전
2) 주세걸의 사원술
4. 송원 수학자의 급수 연구
1) 심괄의 극적술과 양위의 비류 문제
2) 곽수경 등의 『수시력』에서의 평·입·정 삼차술
3) 주세걸의 타적초차
5. 기타 방면의 성취
1) 대연구일술
2) 종횡도
3) 『수시력』에서의 구면삼각법 사상
6. 송원시대 중외수학 지식의 교류
제6장 주산籌算에서 주산珠算으로
1. 주산珠算 탄생의 시대 배경
2. 당 말기 이래의 승제간첩산법
3. 13~14세기의 민간수학과 주산籌算 구결의 형성
4. 주산珠算의 탄생
5. 정대위와 그의 『산법통종』
제7장 서양 수학의제1차 전래
1. 서양 수학의제1차 전래 개관
2. 『기하원본』과『동문산지』의 편역
1) 서광계와 『기하원본』
2) 이지조와 『동문산지』
3. 역법 개혁과 각종 역서에 보이는 수학 지식
1) 명망청초의 개력 개황
2) 각종 역서에 보이는 수학 지식
(1) 평면삼각법과 구면삼각법
(2) 대수
(3) 비례규, 서양 주산籌算 그리고 계산척
4. 매문정과 그의 수학
5. 강희제와 『수리정온』
제8장 청 중엽 쇄국정책 하의 수학
1. 학술 기풍의 전환
2. 중국 고산서의 정리
1) 각종 총서의 편집
2) 『산경십서』의 정리와 주석
3) 송원 산서의 정리와 연구
(1) 진구소의 『수서구장』
(2) 양휘의 각종 저작
(3) 이야의 『측원해경』과 『익고연단』
(4) 주세걸의 『산학계몽』과 『사원옥감』
4) 『주인전』의 편찬
3. 서양 수학과 중국수학의 심화 연구
1) 삼각함수 전개식에 관한 연구
2) 방전론 방면의 연구
3) 유한항 급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에 관한 연구
4) 기타 방면의 연구
제9장 서양 수학의제2차 전래
1. 서양 수학 제2차 전래의 개괄
2. 서양 산서의 번역
1) 이선란의 역서
(1) 『기하원본』(후9권)
(2) 드모르간의 『대수학』13권(1859년 번역)
(3) 루미스의 『대미적습급』18권(1859년 번역)
2) 화형방의 역서
3. 신식 학교의 설립
4. 수학교과서의 개혁
역자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