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1장 백 가지 기술을 한 몸에 지닌 만능 지식인 : 과학자, 정철조
다재다능형 인간
선비, 예술가, 과학자, 기술자
벼룻돌에 미친 바보
정선과 어깨를 겨룬 화가
천문학자, 지도학자
호방한 술꾼의 돌연한 죽음
저서를 남기는 것조차 우습게 여긴 선각적 지성인
2장 세상의 모든 것은 내 붓끝에서 태어난다 : 화가, 최북
술주정뱅이, 환쟁이, 미친놈
붓끝에서 모든 존재가 태어난다
송곳으로 제 눈을 찌른 광인
절대로 굽히지 않는 오만함과 무모함
거기에 산다
김홍도 이전의 가장 뛰어난 화가
최산수 또는 최메추라기
"몸은 얼어 죽었으나 이름은 사라지지 않으리"
3장 검무로 18세기를 빛낸 최고의 춤꾼 : 무용가, 운심
박제가, 운심을 기록하다
'마음 심' 자에 담긴 뜻
검무, 무예이자 예술
세기 공연예술의 절정
춤이 끝나니 온 좌석이 텅 빈 것같이 고요하여
화려한 춤 속에 감추어진 내면
당대의 서예가와 사랑에 빠지다
약산동대 벼랑에 몸을 던진 호방함
역대의 유명 기녀 넷 중 하나
4장 세상의 책은 모두 내 것이니라 : 책장수, 조신선
서쾌·책쾌, 조선시대의 출판마케터
조선의 지식 생산과 유통
"책쾌 조씨가 왔다"
뛰어다니는 인생
나라 안 책장수가 모두 죽게 된 사건
"책이 있는 한 책을 팔러 다니겠다"
정약용도 궁금해하던 조신선의 나이
'신선'이라 불린 책장수
5장 세속의 소란을 잠재운 소리의 신 : 음악가, 김성기
이슬 같은 소리의 운명
거문고와 비파, 퉁소 연주자
배움의 갈증, 도둑 공부
굴레 벗은 천리마
마포 강가의 낚시꾼
물욕을 벗어던진 신선의 풍모
새로운 음악, 시조를 만들다
황진이와의 인연
권력과 맞서다
손끝의 묘기로 사람들을 감동시킨 음악의 거장
제자를 위한 마지막 레슨
6장 자명종 제작에 삶을 던진 천재 기술자 : 기술자, 최천약
바늘을 수입한 조선 사회
천대받은 기술자
동래부 출신 무인
영조 임금이 인정한 자명종 제작기술
칼을 잡으면 무엇이든지 새긴다
시계 전문가
최천약이 본래 왜인이라고?
위대한 조각가
한 시대의 표준 도량형을 만들다
국가 기술자
"최천약 같은 자를 어떻게 구해 오겠습니까?"
7장 승부의 외나무다리를 건너 반상의 제왕에 오르다 : 바둑기사, 정운창
조선 바둑계의 계보
전설이 된 조선의 국수
전라도 보성이라는 곳
두문불출 십 년
조선 제일의 고수와 한판 승부
새로운 영웅의 탄생
더 깊고 오묘한 세계를 만나다
조선왕조 최고의 기사는?
새 시대의 개막
바둑의 길, 프로의 길
8장 천하 모든 땅을 내 발로 밟으리라 : 여행가, 정란
조선 최초의 전문 산악인
세속적 출세에는 관심이 없어
"무리와 다른 짓하는 놈!"
산수에 고질병이 깊어……
사마천의 길이냐, 주자의 길이냐
아침에는 백두산, 저녁에는 한라산
산과 예술의 결정체《불후첩》
"나는 아직 힘이 있어"
"이제 한라산만 남았다"
먼저 죽은 아들의 묘지명을 이용휴에게 부탁하다
유람으로 한평생을 소진한 선비
9장 번잡한 세상을 등진 채 '꽃나라'를 세운 은사 : 원예가, 유박
조화옹이 부린 장난기는 꽃에서 가장 심하다
언제나 화병의 꽃에 기대어
완물상지의 경계를 넘어
사공들아, 유박의 꽃은 운임을 받지 말라
꽃 박물관, 백화암을 짓다
"매화가 나고 내가 매화다"
'화목품제'로 연 꽃 품평회
학문적 경지에 오른 불멸의 원예가
10장 "그래, 나는 종놈이다" 외친 천재 문인 : 시인, 이단전
당대 최고 작가와 천민 시인의 만남
내 이름은 '진짜 하인놈'
애꾸에 곰보, 어버버한 말씨
그 스승에 그 제자
과부가 밤에 곡하듯
기발한 착상, 비유의 명수
불청객으로 떠돌다
광인과 자유인
술에 취해 객사하다
처절한 삶을 맑고 고고한 시로 남기다
11장 신분의 경계를 뛰어넘은 희대의 공연예술가 : 탈춤꾼, 탁문한
이름 없는 존재로 남아야 했던 조선의 대중예술가
사대부로부터 낮게 평가되던 연희 공연
최고의 연희패 수령으로 떠오른 탁문한
광대의 끼를 타고난 한양 양민
검술 기량이 탁월한 직업군인
천인이나 하는 연희패에 뛰어들다
누구도 따라갈 수 없는 경지에 오른 탈춤꾼
공연 도구의 장인
정2품에 오른 도변수
1784년 11월, 나례청에서 일어난 사건들
한밤중 방포 소동
국기일에 춤추고 노래 부르다
가중처벌을 받은 탁문한
산대도감 나례를 책임진 마지막 도변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