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평화의 시대에 한미동맹의 길을 묻는 이유
추천사
오늘의 시대가 놓치지 말고 반드시 읽어야 할 책
장창준, 한미동맹의 길을 묻다
Ⅰ. 북한 ICBM, 미국을 흔들다
1. 북한 ICBM, 세 번 날다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북한 ICBM, 세 번 날다
농담에서 심각한 문제로: SLBM에서
ICBM까지
2. 미국 ‘본토’가 위협받다
미 본토 안전이라는 화두
ICBM을 가진 ‘불량국가’의 출현
본토방어 강조한 2017년 대북합동성명
3. 한국의 딜레마가 시작됐다
선택의 기로: 협상인가 선제공격인가
2017년 한반도 ICBM 위기
제2의 쿠바 미사일 위기
동맹, 딜레마에 빠지다
Ⅱ. 미국, 북핵과 마주하다
1. 미국의 사명, 북핵을 막아라
북한을 불량국가로 지목하다
미국의 사명 “플루토늄을 막아라”
과거 핵이냐, 미래 핵이냐
북핵 문제인가, 한반도핵 문제인가
2. 북한, 핵무기를 보유하다
아들 부시, 모든 것을 돌려놓다
북한, 비핵화를 거부하다
오바마의 북핵 방치, ‘전략국가’를 부르다
3. 한미동맹, 균열이 시작되다
미국에서 등장한 ‘동맹 이탈’ 목소리
평창에서는 평화가, 하와이에서는?
미국은 한국의 안보를 지키지 않는다
Ⅲ. 한국, 미국과 동맹하다
1. 냉전, 동맹을 부르다
원숭이와 바나나 실험
미국 패권 초기, 동맹은 없었다
미소 냉전으로 탄생한 동맹
미국의 아시아 정책을 바꾼 국공 내전
한미동맹 : 아시아 냉전의 산물
2. 동맹이긴 했을까
“감사하게도, ‘한국전쟁’이 터져주었다”
동상이몽의 정치학
포기된 권리, 평화
3. 미국 파워의 현주소
허약함이 드러나고, 신뢰를 상실하다
미국발 금융위기
저물어가는 패권과 중국의 부상
Ⅳ. 21세기 한미동맹을 읽는 네 개의 키워드
1. 미군기지: 세계사에 유례가 없는 규모와 시설을 갖춘 평택
‘용산 시대’에서 ‘평택 시대’로?
자발적 사대근성
안기부의 비밀문건
국회의원들마저
2. 전시작전권: 가장 놀라운 형태로 주권을 양도한
‘평시’는 없고, ‘환수’는 거짓이다
미국 주도 통합사령부에서 유엔군사령부로 둔갑
가장 놀라운 형태로 주권을 양도하다
의도적 왜곡, 은폐된 진실
3.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뇌관
한중 관계는 복원 됐나
사드, 한반도를 습격하다
임시 배치란 없다
사드는 미 본토 방어용
4. 안보: 사대근성을 보수로 둔갑시킨
‘안보는 보수’라는 거짓말
너무나 비정상적인: 누군가의 주머니 채우기
탄저균, 건강권을 위협한다
안보에 저당잡힌 주권
Ⅴ. 평화의 시대, 한미동맹의 길
1. 되풀이하지 않기
미국이라는 동아줄
조선을 파멸시킨 『조선책략』
‘굳건한 동맹’은 없다
2. 대결의 시대에서 평화의 시대로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서
판문점에서 평화를 선언하다
남북 주도의 평화
3. 평화의 시대, 동맹의 길을 묻다
평화의 시대에서 동맹이 지속되면?
재앙에서 축복으로: 한반도 지정학의 두 얼굴
비동맹: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