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의 경제.사회적 기본질서를 가족자유주의로서 개념.이론화하고, 이 기본질서가 국가 주도의 산업자본주의 체제 및 한국인의 생활세계 원리와 전략에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분석하는 책이다. 저자는 이 관계를 바탕으로 인구, 가족, 계급에 걸친 급진적인 사회재생산 위기가 발생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목차
서문: 사회 등진 자본주의, 사회재생산 접은 친밀성
제1부 가족자유주의
제1장 가족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1. 들어가며
2. 자유주의의 다양성: 개인자유주의, 가족자유주의
3. 사회재생산,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4. 사회재생산 회피: 가족자유주의자들의 자기부과적 구조조정
제2장 ‘위험가족’ 시대의 개인ㆍ가족ㆍ사회 관계
1. 개인화? 혹은 개인주의화?
2. 한국인들의 가족주의: 이념적ㆍ제도적ㆍ상황적 구성
3. 개인생애단계와 가족생활주기의 탈구
제2부 생활세계, 인구동태, 사회재생산
제3장 신전통주의 근대가족(혼인)의 위기
1. 서론
2. 신전통주의 근대성: 한국의 유교적 가족문화와 젠더
3. 신전통주의 근대가족: 서구 경험과의 비교
4. 신전통주의 근대성,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젠더체계의 정치경제
5. 탈개발시대 여성과 자유주의 근대화: ‘시집가기’ 결혼의 종언?
6. 전망
제4장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1. 서론
2. 자본주의와 가족주의 근대성
3. 가족주의 질서의 역설: 위험 관리로서의 ‘탈가족화’와 ‘개인화’
4. 개발시대, 위험(회피)시대, 사회재생산
5. 국가주의적ㆍ가족주의적ㆍ개인주의적 사회재생산: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제5장 노인의 무(無)개인주의 개인화
1. 서론: 노인성 구성의 다양성과 유동성
2. 이념적, 제도적, 상황적 개인화
3. 노인의 개인화 실태: 거주 형태, 직업ㆍ소득 실태, 여가ㆍ문화 활동
4. 개인화로서의 노인 자살
5. ‘신세대’로서의 노인과 개인화: 사회재생산적 함의
제3부 생산체제, 계급실태, 사회재생산
제6장 농가 재생산체계의 붕괴와 혼인 세계화
1. 서론
2. 농가 재생산주기 분포별 변화
3. (혼인 세계화 이전) 농가 재생산주기 단계별 문제
4. 농가 재생산주기 보완전략으로서의 국제결혼
5. 결론과 전망
제7장 남성 노동생애와 가족생활주기의 착종 (최선영ㆍ장경섭)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및 분석방법
3. 생애 노동참여 양상의 성별분화
4. 남성 노동생애의 성격: 직업유동성과 부문 간 이동
5. ‘남성생계부양자’의 직업유동성과 불안정성의 가족 전이
6. 결론
제8장 개발가부장제 노동체제와 여성 상용노동 시대
1. 들어가며
2. 한국의 발전전략과 개발가부장제 노동체제
3. 노동 조건 및 일ㆍ생활 양립의 실태
4. 결론
제4부 결론
제9장 결론과 전망: 가족자유주의의 종언?
1. 들어가며
2. 가족ㆍ개인의 자기부과적 구조조정으로서의 사회재생산 회피
3. 비교사회적 평가: 가족자유주의의 세계적 다원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