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문화총서 3권. 조선시대 왕실 문화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의궤가 조선왕조의 왕실 행사에 관한 국가 기록물이며, 고려와 조선왕조에 특유한 도감 제도와 관련된 기록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의궤의 기록 형식과 구성 내용을 다양한 화보와 함께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였다.
책머리에 서론
1장 의궤란 무엇인가 1. 의궤의 뜻과 용례 2. 의궤와 국가 의례 3. 의궤와 왕실 행사
2장 의궤의 현황과 분류 1. 현전 의궤의 현황 2. 의궤의 분류
3장 조선 시대의 의궤 제작 1. 선초 『실록』의 의궤에 관한 기록 2. 의궤의 제작과 분상(分上) 3. 어람용 의궤의 제작
4장 의궤의 내용 구성 1. 관리 부서(도청)의 기록 2. 작업 부서(방 혹은 소)의 기록 3. 기타 지원 부서의 기록
5장 왕실의 통과의례에 관한 의궤 1. 책례도감의궤 2. 가례도감의궤 3. 국상(國喪)에 관한 의궤 4. 부묘도감의궤 5. 존숭과 추숭 행사에 관한 의궤
6장 왕실의 특별 행사에 관한 의궤 1. 궁중 연회에 관한 의궤 2. 영접도감의궤 3. 녹훈도감의궤 4. 그 밖의 기념적 행사에 관한 의궤
7장 왕실 건축물 영건(營建)에 관한 의궤 1. 태실의 조성에 관한 의궤 2. 궁중 건축물 영건에 관한 의궤 3. 능원묘 조성에 관한 의궤 4. 종묘, 진전, 왕실 사묘(祠廟)의 개수에 관한 의궤
8장 서적 편찬에 관한 의궤 1. 왕실 족보의 수정에 관한 의궤 2. 『실록』 편찬에 관한 의궤 3. 『국조보감』 편찬에 관한 의궤 4. 그 밖의 서적 편찬에 관한 의궤
9장 의기(儀器)의 조성에 관한 의궤 1. 어진 제작에 관한 의궤 2. 악기와 제기의 조성에 관한 의궤 3. 책보(冊寶)의 개조와 보수에 관한 의궤
10장 왕실 행사와 의궤의 반차도(班次圖) 1. 왕실 행사와 의장(儀仗) 2. 가례도감의궤 반차도 3. 책례도감의궤 반차도 4. 존호도감의궤 반차도 5. 국장 때의 발인 반차도 6. 부묘도감의궤 반차도
맺음말 국가 기록물로서 의궤의 성격 1. 의궤와 도감 제도 2. 의궤와 등록 3. 의궤와 왕실 행사
참고 문헌 부록 조선왕조 의궤 목록
조선사 클리닉 : 비뚤어진 조선사 상식 바로 세우기2008 / 김종성 지음 / 추수밭
역사 추리 조선사2018 / 김종성 지음 / 인문서원
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사직상소2017 / 지음: 김준태 / 눌민
리더라면 정조처럼: 정조대왕의 숨겨진 리더십 코드 50492020 / 김준혁 지음 / 더봄
장용영 : 정조가 만든 조선의 최강 군대2018 / 지은이: 김준혁 / 더봄
책문 : 이 시대가 묻는다2015 / 김태완 풀고 씀 / 현자의마을
선물의 문화사: 조선을 이끈 19가지 선물2019 / 김풍기 지음 / 느낌이있는책
조선왕조의 의궤와 왕실 행사2018 / 김해영 지음 / 현암사
조선통신사 이야기 : 한일 문화교류의 역사2017 / 나카오 히로시 지음 ; 유종현 옮김 / 한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