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지식.정보책의 형식을 벗어나 쉽고 재미있게 사회 개념을 알려주는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시리즈 한국지리편. 꼭 알아야 할 주요 교과 내용을 가려 뽑고, 핵심을 추려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하는 것까지 현직 선생님이 초등학생의 입장에서 만들었다. 집필자와 편집부가 함께 교과서를 분석하고,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가려 뽑아 키워드로 제시하고, 도입에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이용해 흥미를 유도했다.
목차
1장 우리나라의 지도 지도가 뭐예요?_지도 지도는 모두 똑같이 생겼나요?_지도의 종류 지도는 왜 필요한가요?_지도의 필요성 방위가 뭐예요?_방위 어디가 동쪽이고 어디가 서쪽인지 어떻게 알아요?_방위 찾는 방법 축척이 뭐예요?_축척 축척이 크다, 작다는 어떻게 구분하나요?_축척의 크기 기호가 뭐예요?_기호 등고선이 뭐예요?_등고선 등고선은 어떻게 그려요?_등고선 그리기 지도를 보면 실제 거리를 알 수 있나요?_거리 계산하기 내가 있는 곳의 실제 높이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_등고선 읽기 지도에서 색깔 구분이 뜻하는 것은 무엇인가요?_고도의 색깔 구분 그래프(도표)는 수학에서 필요한 것 아니에요?_그래프 꺾은선 그래프와 원 그래프는 언제 사용하나요?_그래프의 종류
2장 우리나라의 기후 날씨와 기후는 어떻게 달라요?_기후 우리 집 온도계의 온도가 기온인가요?_기온 내리는 비를 모두 모은 것이 강수량인가요?_강수량 기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고요?_기후 그래프 우리나라의 기후에는 어떤 특색이 있나요?_우리나라 기후의 특색 왜 남부 지방가 해안 지방이 겨울에 더 따뜻한가요?_기온의 남북 차이 계절에 따른 날씨는 어떤가요?_계절 구분 울릉도에는 왜 눈이 많이 내리나요?_다설지 기후가 다르면 입는 옷이 달라지나요?_기후와 의생활 기후는 우리가 먹는 음식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_기후와 식생활 남부 지방에서는 짜게, 북부 지방에서는 싱겁게 먹는 이유가 뭐예요?_음식의 지역 차이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집 모양은 왜 달라요?_기후와 주생활 온돌을 왜 최고의 난방 기법이라고 하나요?_온돌 이상 기후는 이상한 기후라는 뜻인가요?_기후의 변화 지구 온난화가 대량 살상 무기라고요?_지구 온난화
3장 우리나라의 지형 얼마나 높아야 '산'이라고 하나요?_산 산지는 어떤 곳이에요?_산지 하천이 뭐예요?_하천 평야는 처음부터 평평했나요?_평야 분지는 어떻게 생긴 땅이에요?_분지 해안은 어떤 곳이에요?_해안 갯벌을 왜 '바다의 밭'이라고 하나요?_갯벌 우리나라 산지에는 어떤 특색이 있나요?_우리나라 산지의 특색 우리나라 하천에는 어떤 특색이 있나요?_우리나라 하천의 특색 넓은 평야를 보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_우리나라 평야의 분포 낙동강 삼각주는 정말 삼각형 모양인가요?_삼각주 제주도와 울릉도는 쌍둥이인가요?_화산섬 동해안과 서해안은 왜 다르게 생겼어요?_동·서해안의 차이
4장 우리나라의 산업 농업은 어떤 활동을 말하나요?_농업 고도가 높은 산지에서도 농사를 짓나요?_고랭지 농업 대도시 근처에서는 왜 벼농사를 짓지 않나요?_근교 농업 농산물에도 상표가 있나요?_특산물(농산물) 우리 집 어항에 금붕어를 키우는 것도 어업인가요?_어업 대게를 먹으려면 동해로 가야 한다고요?_특산물(수산물) 공업은 어떤 활동을 말하나요?_공업 공장은 어떤 곳에 세워야 하나요?_공장의 입지 조건 상업과 서비스업은 서로 사촌인가요?_상업과 서비스업 1차, 2차, 3차 산업은 어떻게 달라요?_산업의 분류
5장 우리나라의 인구 인구가 뭐예요?_인구 인구 피라미드는 사람을 피라미드처럼 쌓은 건가요?_인구 피라미드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과 적게 사는 곳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_인구 분포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 가는 이유는 무엇이가요?_인구 이동 남자와 여자의 인구수가 다른 것도 문제가 되나요?_인구 문제 우리나라의 인구는 어떻게 변해 왔나요?_인구 변화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디에 많이 살고 있나요?_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특색 우리 국토의 모습이 머리만 큰 가분수 같다고요?_수도권 인구 집중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왜 심각한 거예요?_인구 고령화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나요?_인구 문제 해결 방안
6장 우리나라의 도시 도시는 어떤 곳이에요?_도시 사람만 많이 살면 도시가 되나요?_도시화 도시가 되면 행정 구역 이름도 바뀐다고요?_행정 구역 구분 가장 면적이 큰 도시를 뭐라고 부르나요?_도시의 종류 우리나라에서 도시가 많은 곳은 어디예요?_도시 분포 위성 도시와 인공위서은 어떤 사이예요?_위성 도시 도시 문제는 왜 나타나나요?_도시 문제
7장 우리나라의 촌락 촌락은 어떤 곳이에요?_촌락 농사짓는 마을에서는 어떻게 살아가나요?_농촌 바닷가 마을에서는 어떻게 살아가나요?_어촌 산간 마을에서는 어떻게 살아가나요?_산지촌 촌락에는 왜 할머니, 할아버지만 계실까요?_촌락 문제1 왜 사람들이 촌락을 떠나고 있나요?_촌락 문제2 촌락을 '살고 싶은 곳'으로 바꿀 수는 없나요?_촌락 문제 해결 방안
서가브라우징
로로로 초등 사회. 3학년 2020 / 글: 윤병무 ; 그림: 이철형 / 국수
로로로 초등 사회. 4학년 2020 / 글: 윤병무 ; 그림: 이철형 / 국수
로로로 초등 사회. 5학년 2021 / 글: 윤병무 ; 그림: 이철형 / 국수
로로로 초등 사회. 6학년 2020 / 글: 윤병무 ; 그림: 이철형 / 국수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 편2010 / 글: 전혜은 ; 그림: 김미정 / 주니어중앙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2], 민속 편2010 / 글: 정하영 ; 그림: 유남영 / 주니어중앙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 편2010 / 글: 엄정훈 ; 그림: 이유나 ; 만화: 김경옥 / 주니어중앙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한국지리 편2010 / 글: 박정애 ; 그림: 지영이 / 주니어중앙
우린 모두 평등해2017 / 글: 고영이 ; 그림: 이나르 / 아람
(한국의 궁궐)경복궁에 가면2017 / 글: 이선아 ; 그림: 김삼현 / 아람
시끌벅적 시장 한 바퀴2013 / 강효미 글; 우연이 그림 / 아르볼
(바쁘다 바빠,) 우리 대통령2013 / 황근기 글; 홍기한 그림 / 아르볼:
출동! 도와줘요 공공 기관2014 / 글: 손혜령; 그림: 신동민 / 지학사아르볼:
클릭, 세상을 바꾸는 통신2014 / 글: 박영란; 그림: 단별 / 지학사아르볼:
(지켜 줘요) 완전 소중한 인권2014 / 이솔지 글; 황하석 그림 / 아르볼:
같이 빌린 책
신비한 동물 사전 : 12세 관람가2017 / 조앤 K. 롤링 원작 ; 데이빗 예이츠 감독 / 워너브라더스
유진과 유진 2004 / 지음: 이금이 / 푸른책들
이렇게 생긴 수학. 2, 연산의 발견2022 / 글: 전국수학교사모임 ; 그림: 박동현 / 봄나무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2012 / 글: 엄정훈 ; 그림: 이유나 ; 만화: 김경옥 / 중앙북스
옛날 관청과 공공시설2012 / 우리누리 글 ; 이종은 그림 / 주니어중앙
(좋아? 나빠?)인터넷과 스마트폰2013 / 글:이안 ; 그림:최해영 / 과학동아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2012 / 글: 전혜은 ; 그림: 김미정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2], 민속편2012 / 글: 장하영 ; 그림: 유남영 / 중앙북스
지도를 알면 지리가 쉽다 : 우리지리2010 / 강종범 글 ; 스튜디오 지상 그림 / 애플비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2012 / 글: 김동찬 ; 최윤선 ; 그림: 장정오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2012 / 글: 조선미 ; 그림: 송향란 / 중앙북스
열한 살에 천사가 된 아이2006 / 이규희 글 ; 원유미 그림 / 대교출판
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 10, 피에트 하인 만든 쌓기나무2008 / 지음: 김태완 / 자음과모음
같은 주제의 책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9, 윤리적 소비, 윤리적 소비와 합리적 소비, 우리의 선택은?2018 / 글: 위문숙 / 내인생의책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45, 플라스틱 오염, 재활용이 해답일까?2018 / 지음: 제오프 나이트 ; 옮김: 한진여 / 내인생의책
국제조약, 알면 뉴스가 들려요2016 / 지음: 김향금, 그림: 김소희 / 사계절
전쟁도 평화도 정치도 경제도 UN에 모여 이야기해 보아요 : 어린이를 위한 국제기구(UN)설명서2019 / 지음: 강창훈, 그림: 허현경 / 사계절
(짜릿하고도 씁쓸한)올림픽 이야기2019 / 지음: 김성호, 그림: 이영림 / 사계절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5, 인권, 인간은 어떤 권리를 가질까?2018 / 지음: 은우근 ; 조셉 해리스 ; 옮김: 전국사회교사모임 / 내인생의책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9, 유전공학 과연 이로울까?2018 / 지음: 피트 무어 ; 옮김: 서종기 / 내인생의책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47, 저작권, 카피라이트냐? 카피레프트냐?2018 / 지음: 김기태 / 내인생의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