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에 이르기까지 서구 역사철학은 두 개의 상이한 역사관 사이의 대립구도 속에서 전개된다. 하나는 유대-기독교 메시아주의 전통의 구원론적-종말론적 역사관이며, 다른 하나는 역사적 유물론이라는 해방서사로서의 역사관이다.
책머리에
들어가며 / 역사의 두 천사
1장 / 아우구스티누스: 신의 섭리 속에 계시되는 역사 1) 고통 속에 존재하는 신의 증거 2) 창조와 영원, 그리고 신의 절대 주권 3) 두 개의 왕국, 그리고 공동선의 비밀 4) 종말과 구원 5) 아우구스티누스의 공백 [보론 1] 코뮨주의와 공동선 이념의 세속화
2장 / 맑스: 역사적 유물론과 해방서사의 등장 1) 세속화된 근대: 계몽과 진보 2) 청년 맑스와 세속화의 과제 3) 역사적 유물론의 전개: 철저한 세속화로의 방향 전환 4) 진보와 반복. 굴레를 넘어 [보론 2] 모더니티, 세속화된 종교적 세계: 맑스의 물신주의 비판과 세속화
3장 / 벤야민: 지금 여기, 억눌린 자들의 메시아 1) 맑스(주의)와 벤야민 2) 유물론과 신학의 마주침 3) 세속화와 의미 구조 이동의 두 가지 방식 4) 진보와 반복, 영원회귀, 그리고 파국 5) 정지상태의 변증법: 각성의 순간과 진리정치 6) 과거의 구원과 ‘지금시간’: 억눌린 자들의 현재
나오며 / 오늘날 세속화의 과제
다시 쓰는 역사, 그 지식의 즐거움2017 / 이상현 지음 / 삼화
역사와 철학의 만남2017 / 이한구 지음 / 세창출판사
행성 시대 역사의 기후 2023 / 지음: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옮김: 이신철 / 에코리브르
역사란 무엇인가2015 / E.H. 카 지음 ; 김택현 옮김 / 까치글방
지금, 역사란 무엇인가: 새로운 시대가 과거에 던지는 질문들2023 / 엮음: 헬렌 카, 수재너 립스컴, 옮김: 최파일 / 까치
역사, 진실에 대한 이야기의 이야기2013 / 앤 커소이스, 존 도커 지음 ; 김민수 옮김 / 작가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