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편 국가정보의 개관
제1장 국가정보의 기초
제1절 국가정보의 개념
제2절 국가정보의 범위와 유형
제3절 국가정보의 순환
제2장 정보활동의 기원과 발전
제1절 정보활동의 기원
제2절 르네상스 시대의 정보활동
제3절 근대적 정보기관의 등장
제4절 현대 정보활동
제3장 국가정보학의 연구동향
제1절 국가정보학 연구의 의의
제2절 국가정보학의 연구범위
제3절 국가정보학의 접근방법
제4절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기원과 발전
제5절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위상과 한계
제2편 정보활동론
제4장 첩보수집
제1절 인간정보
제2절 기술정보
제3절 인간정보와 기술정도의 비교
제4절 공개출처정보
제5장 정보분석
제1절 개관
제2절 정보분석 기법
제3절 정보분석보고서: 생산과정, 유형, 특징
제4절 정보분석기구
제5절 분석과 정책의 관계: 분석관과 정보사용자
제6장 비밀공작
제1절 비밀공작의 기원과 발전
제2절 비밀공작의 이해: 개념, 특성, 필요성
제3절 비밀공작의 계획과 실행: 미국의 사례
제4절 비밀공작의 유형
제5절 비밀공작의 쟁점과 과제
제7장 방첩
제1절 방첩의 기원과 중요성
제2절 방첩의 이해: 개념, 목적, 범위
제3절 방첩의 실제
제4절 방첩의 새로운 영역
제5절 방첩의 과제와 전망
제3편 정보기구론
제8장 정보기구의 개관
제1절 정보기관과 정보활동
제2절 정보기관의 특성
제3절 정보기구의 유형
제4절 정보기구 비교: 민주주의 국가 vs 권위주의 국가
제9장 미국의 정보기구
제1절 기원과 발전
제2절 조직과 운영체계
제3절 최근 변화 동향
제10장 동북아 주요국의 정보기구
제1절 일본의 정보기구
제2절 중국의 정보기구
제3절 러시아의 정보기구
제11장 유럽의 정보기구
제1절 영국의 정보기구
제2절 프랑스의 정보기구
제3절 독일의 정보기구
제12장 이스라엘의 정보기구
제1절 기원과 발전
제2절 조직과 운영체계
제3절 향후 전망과 과제
제13장 한국의 정보기구
제1절 기원과 발전
제2절 국가정보원
제3절 부문정보기관
제4절 대내외 안보환경 변화와 국가정보의 과제
제4편 정책과 정보
제14장 국가안보와 정보
제1절 국가정보와 국가안보의 연계
제2절 탈냉전기 대내외 환경변화와 국가정보
제3절 국가정보의 도전과 극복
제15장 정보의 실패
제1절 정보실패의 개념
제2절 정보실패의 실제
제3절 정보실패의 요인들
제4절 정보실패의 극복방안
제16장 정보의 민주적 통제
제1절 개관: 정보통제의 개념, 기원, 발전
제2절 이론적 논의
제3절 정보통제의 기구들
제4절 정보통제의 과제
제5편 국가정보와 국가정보학의 발전방향
제17장 정보환경 변화와 국가정보의 발전방향
제1절 정보환경의 변화
제2절 한국 국가정보학의 향후 연구방향
제18장 국가정보학의 향후 연구방향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