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끄 르꼭은 누구인가? 그는 무엇을 했는가? 그의 교육 목표와 방법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그의 제자인 장 가브리엘 가라소 그리고 장 클로드 랄리아가 자끄 르꼭과 무수한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그렇게 탄생된 결과물이 몸으로 쓰는 시다.
목차
몸으로 쓰는 시는 아름답다 개정판에 붙여 움직이는 고정점
Ⅰ. 나의 여로 체육에서 연극으로 이탈리아 체류기 돌아온 파리! 움직임 학교 터전을 찾아서 학교의 여로 새로운 연극 창작을 위하여 영구성 탐구
Ⅱ. 세상과 움직임 백지장 1. 즉흥 연기 언어 이전의 침묵 재연과 연기 연기의 구조를 향하여 중립가면 중립성 여로의 기본요소 자연과 동일화 변형 예술세계로의 접근 시의 본질 무지개 색 단어의 신체 파트너로서의 음악 가면과 반면 연기의 단계 형태 속으로 인물창조 상태, 감정, 정서 장소와 환경 형식의 제한 2. 움직임의 기술 신체구축과 소리훈련 움직임에 의미를 부여하다 드라마틱 아크로바트 신체의 한계성 움직임 분석 일상의 움직임으로부터 자세 잡기 신체행동의 경제성 탐구 자연의 역동성 분석 동물탐구 움직임의 법칙 3. 학생들의 연극 자율창작과 현장탐구
Ⅲ. 창작의 길 연극 영역 1. 몸짓 언어 판토마임에서 그룹마임으로 2. 연극의 주요 영역 멜로드라마 격정적인 감정 코메디아 델라르테 휴먼 코미디 시나리오 초안과 연기 전략 부퐁 미스터리, 그로테스크, 판타스틱 다른 신체 비극 코러스와 영웅 무대균형 대본의 필요성 광대 내 안의 광대를 찾아서 뷔를레스크, 부조리, 코믹 버라이어티 3. 움직임 연구소
새로운 문을 열다
서가브라우징
꼭두각시 놀음의 역사와 원리2001 / 서연호 저 / 연극과인간
말이 몸이 되는 날: [청소년]: 몰랐던 너와 내가 만나는 연극 시간2023 / 지음: 구민정 / 서해문집
한국연극의 승부사들 : 김건표가 만난 대한민국 연극인 50人 2023 / 지음: 김건표 / 연극과인간
연극인되기 = Being theatre practitioner : 무대 밖에서 듣는 연극인 이야기2015 / 지음: 김세운 / 민중의소리
농담, 응시, 어수선한 연결: 삶과 예술 사이 장애연극의 시간2022 / 지음: 김슬기, 김지수 / 가망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