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현상학과 해석학-그 접근과 제휴
제1장 현대 독일철학의 동향-학적 인식에서 경험으로
제1절 신칸트학파에서 생의 철학으로
제2절 현상학의 의도와 방법
제3절 발생적 현상학과 세계의 문제
제4절 기초적 존재론의 구상
제5절 존재의 사유
제6절 현상학과 해석학의 현황
제2장 현상학의 역사적 전개들-본질현상학에서 ‘인간과 세계’의 현상학으로
제1절 본질직관과 지평의식: 뮌헨 현상학과 초월론적 현상학
1. 뮌헨 학파의 성립
2. 환원이론을 둘러싼 대립
3. 대립의 근저에 있는 것
4. 행위수행과 반성
제2절 인식론적 구상의 근저에 있는 것: 신칸트학파로 향한 접근과 대결
1. 비판주의와 같은 점 또는 다른 점
2. 인식과 생의 대립
3. 의식의 발생적 고찰
제3절 해석학과의 교류: 1920년대의 프라이부르크 현상학
1. 프라이부르크 현상학의 시대
2. 하이데거의 현상학 구상
3. 하이데거와 후설을 연결하는 것
4. 현상학과 해석학
5. 방법과 사상
제4절 행동, 상황, 구조: 프랑스 현상학 소묘
1. 프랑스 철학의 심신론적 전통
2. 사르트르의 현상학
3.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제5절 현상학의 현재
1. 50년대에서 60년대까지
2. 70년대의 동향
3. 오늘날의 기본적 동향
제3장 현상학 연구의 현황-생활세계와 지평의 현상학
제1절 시작하며
제2절 생활세계와 지평의 현상학
제3절 세계의 현출이론으로서의 현상학
제4절 반성과 프락시스
제5절 언어행위와 의사소통
제6절 현상학과 해석학
제7절 현상학의 가능성
제2부 반성이론과 해석이론
제4장 현대철학의 반성이론
제1절 독일관념론을 재평가하는 반성론적 근거
제2절 반성론으로서의 현상학적 환원론
제3절 ‘살아있는 현재’의 의문을 둘러싸고서
제4절 철학적 해석학과 반성의 지평성격
제5절 반성론의 향후 과제
제5장 해석학의 현황
제6장 해석학의 논리와 전개
제1절 해석학의 논리를 제약하고 있는 것
제2절 해석학적 순환: 철학적 해석학의 전개
제3절 텍스트의 개념: 문헌해석학의 입장
제4절 헤르메스와 안티헤르메스: 양 축의 교차와 발산
제3부 현상학의 근대 비판
제7장 하이데거의 기술 비판
제1절 존재의 진리와 형이상학
제2절 기술과 그 본질
제3절 사유의 길
제8장 후설의 과학 객관주의 비판
제1절 과학과 경험과 생: 19세기 후반의 학문적 상황
1. 경험 개념과 ‘유기체 모델’
2. 생과 인식: 딜타이의 과학론
제2절 생활세계와 과학: 학문론으로서의 후설 현상학
1. 선술어적 경험의 동태적 구조
2. 과학적 사유의 성립
3. 생활세계의 현상학
제3절 생활세계의 아포리아: 그 개시와 은폐의 로고스
제9장 후설의 목적론과 근대의 학지
제1절 지향성의 기본특성: 목적론적 규정의 자리매김
제2절 의식의 내재적 목적론: 명증의 구도
제3절 세계현출의 목적론적 권역: 모나드와 세계
제4절 생활세계와 목적론: 실천철학으로서의 목적론
마무리하며
제4부 매체성의 현상학으로 가는 길
제10장 가까움과 거리-숨은 매체에 대한 소감
제11장 현상학에 부과된 것
제12장 현상학적 사유의 자기변모-프라이부르크계 현상학의 현대적 전개에 대한 전망
서
(1) 지향성 기능에 숨어 있는 것
(2) 「생활세계의 현상학」의 빛과 그늘-지평의 구도
(3) 차이성 문제계통으로 향한 현상학적 전회-「생명과 지」에 대한 물음
(4) 금후의 과제들에 붙여서
초출일람
후기
미주
사항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옮긴이 후기